Page 253 - 오산학 연구 4집
P. 253
오산의 닭은 수원군이 축산동업조합을 통하여 종란과 종계를 전국에 판매하여 양계산지로서 전
국에 알려지게 되었다(아래 표). 1924년 11월 2일에는 수원양계조합의 가금품평회를 오산에서
개최하였으며 그만큼 오산 지역이 양계를 많이 하였다.
개량 닭 보급 증식상황 13)
년도 개량종 재래종 합계
1918 3,884 40,898 43,782
1919 4,124 42,017 46,141
1920 6,475 47,386 53,861
1921 11,033 51,462 62,495
1922 23,833 47,128 71,051
1923 55,620 40,120 95,740
14)
양잠도 성했었는데, 1913년 5월에는 청호면 에는 오산양잠조합을 설립하였고, 그 후 오산지
역에 오산공립농업보습학교와 오산공립농잠실수학교를 설립하여 농업은 물론 양잠 기술의 보
급과 생산을 독려하였다. 이러한 상황으로 보아 당시 오산지역에도 양잠업이 상당히 번창하였
음을 알 수 있으나 정확한 기록은 없다.
1942년 3월이 되면 조선잠사업통제령을 공포하고 이 법령에 따라서 고치 값을 공정가격제도
로 바꾸고 고치의 판매는 공출제도로 변경하여 시행하니, 이 제도는 강제로 할당량을 과중하게
하여 양잠농가에 큰 부담을 주었고, 광복이 된 이후에도 남아 있어 뽕밭 면적이 급격히 감소하
게 되었다. 오산지역도 이러한 영향을 받아 광복 직후 양잠산업은 감소하게 되고, 그 후 인조견
의 출현으로 양잠산업이 완전 쇠퇴기로 접어들게 되었다. 15)
광복이후 오산의 미곡 생산량은 1970년대 산업화와 함께 매년 감소하기 시작하여 1980년대
후반에는 1960년대 중반에 비해 20% 가까이 줄었다. 미곡 생산량은 1970년대 중반 통일벼 재
배기간에 최고점에 달한 후 한동안 감소 추세로 돌아섰다. 그래도 1989년에는 4,672톤을 생산
하였고, 1990년대 전반까지는 절대량의 미곡 생산을 계속 유지하고 있었다. 그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그 폭이 그리 크지는 않았다.
이렇게 1990년대 중반 이후까지 벼 재배 면적이 줄어드는 데도 불구하고 쌀 생산량을 계속 유
13) 수원시사편찬위원회, 『수원시사』, 1986. 1073쪽.
14) 현 오산시
15) 오산시사편찬위원회, 『오산시사2권』, 2009. 498쪽.
오산장(烏山場)의 역사성과 변천 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