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5 - 오산학 연구 4집
P. 215
최래옥은 전설의 변이양상과 분석을 통해 이야기에 접근하여 작품의 변이가 현실적인 필요에
의해 생긴 것이고, 민간의 편에서 그들의 마음을 달래주며 새로운 시대에 창조와 적응의 힘을
6)
발산하고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혜화는 ‘아기장수 전설은 장수의 도래에 의한 이상국의 건설을 희구하는 민중의 신
앙에서 연유한다’고 밝히고 아기장수의 실패는 보수적 군신관과 지배층의 강력한 통제 때문이
지만 민중들의 체념과 좌절이 패배주의적 항민(恒民)으로 순치되어, 역설적으로 자위적 카타르
시스를 체험한다고 했다. 7)
천혜숙은 고구려 건국신화와 박혁거세 신화를 아기장수이야기와 비교분석하며 주몽과 박혁
거세는 질서의 주체로 신성시되는데 비해 아기장수는 무질서의 요인으로 금기시되었으며, 이는
곧 추대된 영웅담과 버려진 영웅담의 차이라고 했다. 8)
강유리는 ‘역적’이라는 말에 지배층의 이데올로기가 숨어 있고, 역적은 지배층이 가진 기득권
에 반대하는 자이다. 그래서 지배층은 평민의 집에서 장수가 나면 역적이 되므로 마땅히 죽여야
하고 민중들은 서슬퍼런 ‘멸문의 화’라는 지배이데올로기에 세뇌되어 자신들의 장수를 죽인다는
논리다. 9)
이보라는 <아기장수 전설>에서 어머니의 역할이 왜 부정적으로 나타났는지를 살폈다. 부계
사회로 넘어오면서 남성의 여성지배와 하층민으로서 계층지배의 희생양이 어머니라고 주장했
다. 10)
최정윤은 ‘아기장수’가 죽는 것으로 귀결되는 이 이야기가 오랜 시간 동안 전승되어오면서도
그 결말이 바뀌지 않는 이유는 민중영웅의 태생적 한계나 그로인해 패배하는 민중의 실제적 역
사의 반영이 아니라, 바로 이 이야기가 갖고 있는 서사구조에서 찾고 있다. 서사구조를 <①장수
의 탄생 ②장수의 비범성 노출 ③부모의 정서적 반응 ④장수의 죽음 ⑤용마의 출현>으로 보았
고 ③부모의 정서적 반응으로 인해 전체 서사구조가 비극으로 결말을 맺는 이유라고 밝혔다. 11)
황승업은 <아기장수설화>에 나타난 공포가 영화 <지슬>을 통해 오늘날까지 지속성을 가지고
6) 최래옥 앞의 논문
7) 이혜화 <아기장수 전설의 신고찰> 『한국민속학』 16권 한국민속학회 1983
8) 천혜숙 <아기장수 전설의 형성과 의미> 『한국학논집』 13호 계명대 학국학연구원 1986
9) 강유리 <아기장수 설화 연구-이데올로기 수용의 관점에서> 『한국고전연구』 2권 한국고전연구학회 1996
10) 이보라 <아기장수 전설연구-어머니의 부정적인 역할을 중심으로> 중앙대 석사학위 논문 2004
11) 최정윤 <아기장수 설화의 비극적 결말의 지속에 대하여-구조분석을 중심으로> 서강대 석사학위 논문 2006
아기장수 이야기의 지속성과 어머니의 역할 그리고 오산 아기장수 이야기 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