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7 - 오산학 연구 1집
P. 247

6)
                                                                                     7)
                  무단에는 계장(契長)인 청주(廳主) 1명, 공원(公員) 1명, 역원(役員) 인 장재(掌財)  1명, 청지
                기 1명을 두어 신청에 거주한다.


                2) 나주 신청(神廳)



                  전라남도 나주의 무부계는 읍내 11호, 읍외 60호 남짓 되는 무호(巫戶) 성년 남자 계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집마다 연액(年額) 22전의 돈을 거두어 상당한 기본금을 갖고 있다. 그 이
                자로 신청의 유지비와 선생안의 제사 비용으로 쓴다. 결혼한 사람은 반드시 입회할 의무를 가
                지며, 입회금 49전을 내는 것으로 되어 있다.



                  역원(役員)으로는 계장(契長)인 상석(上席), 일수석(一首席), 삼수석(三首席), 일대방(一大
                房), 차대방(次大房), 삼대방(三大房), 간사격인 청수(廳首), 별공원(別公員), 서무회계인 공원

                (公員)과 장무(掌務)가 있으며 그 외에는 명의뿐이다. .. 현재 신청은 기생 음악학습소가 되어
                있다.



                  선생안에서는 도덕적 규범을 정하고 있으며 나라의 행사에 역할을 수행해야 함을 정하고 있
                   8)
                다.


                  해남의 신청에 대하여도 언급되고 있는데 해남군 무호 70호남짓되는 무부로 이루어져 있었
                다. 공유재산으로 논 14斗落, 밭 10斗落을 소유하였다 한다. 또한 그 수입으로 매년 정월 아

                침·한식·추석·동지의 네 차례에 신청에서 계원이 신청에 집합하여 선생안제를 행했다는
                것이다.










                6) 임원(任員)
                7) 금전의 출납을 맡아보는 사람.
                8) 邦國의 대사를 당하여 이를 가르칠 적에는 청중의 공론을 통하여 가리어 정하고 행나례(行儺禮)로써 맡아야 할 것이
                  다. 『朝鮮巫俗의 硏究』 下, 赤松智城·秋葉隆, 沈雨晟 옮김, 東文選, 1991. P 280.
                   나례 : ‘구나(驅儺)·대나(大儺)·나희(儺戱)’라고도 한다. 섣달 세밑[歲末]의 바쁜 중에도 각 가정에서는 부뚜막의 헌 곳을
                  새로 바르고, 거름을 치워내고, 가축우리를 치워 새로 짚을 넣어 깔아주며 집안을 깨끗하게 청소하고 정돈을 한다.


                                                                       한국의 무속과 경기도당굿  245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