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6 - 오산학 연구 5집
P. 86

여 총 6건 8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그 중 대각에 투공이 확인되는 유개단각고배(뚜껑이 있는

               다리가 달린 높은 잔)와 부가구연대부장경호를 통해 보았을 때 조성 시점은 6세기 말~7세기 초
               정도로 추정된다.





























               그림 12. 내삼미동 유적 5호 돌방무덤 및 출토유물(京畿文化財硏究院 2011에서 수정 후 인용)


                이 외에도 2018년 경기문화재연구원에서 조사한 내삼미동 269-4번지 일원에서 7세기 대로
                                                                                       10)
               추정되는 돌방무덤 1기가 있으며, 2010년 한국문화유산연구원에서 조사한 세교동 유적 에서 6
               세기 후반~7세기 초반으로 추정되는 돌덧널무덤이, 기호문화재연구원에서 조사한 탑동·두곡

               동 유적에서 7세기 전반으로 추정되는 돌방무덤 1기가 확인되었다.
                통일신라 고분유적은 3개소 정도로 매우 적다. 그런데 이전 시기의 앞트기식 돌방무덤이 유
               적당 1기 혹은 2기 정도만 확인되는 양상과 달리 통일신라 돌덧널무덤(竪穴式石槨墓, 수혈식석

               곽묘)은 한 유적에서 여러 기가 분포하는 양상이다. 이는 통일 후 여러 문화적인 요소가 당나라
               의 것을 수용하면서 규격화·정형화되는 당시 사회적 분위기와도 상통한다. 이 시대의 유적은
                  11)
                                           13)
                             12)
               궐동 , 내삼미동 , 탑동·두곡동  유적에서 확인되었다. 그러나 출토된 유물이 거의 없기 때


               10) 韓國文化遺産硏究院, 2012, 『烏山 細橋洞 遺蹟』
               11) 中央文化財硏究院, 2013, 『烏山 闕洞 遺蹟』
               12) 京畿文化財硏究院, 2011, 『烏山 內三美洞 遺蹟』
               13) 기호문화재연구원, 2013, 『烏山 塔洞·斗谷洞 遺蹟』



               84  강정식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