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1 - 오산학 연구 5집
P. 81
그림 7. 세교동 산 41-5번지 유적 1호 집터 및 출토유물 각종(세종문화재연구원 2016에서 수정 후 인용)
5)
이 외에도 최근 외삼미동 유적(한양문화재연구원) 에서 집터 2기가 확인되었다.
통일신라 집터가 확인된 유적은 2009~2011년에 걸쳐 기호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조사한 탑
6)
동·두곡동 유적 이다. 그 중 마을유구는 현재 오산시 탑동 산3번지 일원에서 확인되었다. 나
지막한 구릉지가 눈썹형태로 분포하고 있었고, 마을은 구릉 남사면에 위치하였다. 취락에서부
터 북쪽으로 약 300m 정도 떨어진 지점에 가장천이, 동남쪽으로 약 600m 정도 떨어진 지점에
오산천이 흐르고 있다. 유적의 남쪽은 농경지로 인해 유구가 파괴된 것으로 추정된다.
집터는 11기가 확인되었다. 평면 형태는 대부분 비율이 1~1.2:1 정도의 방형이다. 내부에는
모두 구들이 확인되었는데, 구들과 아궁이가 평면‘ㅡ’자형인 11호를 제외하고 나머지는 모두 평
면 ‘ㄱ’자 형태이다. 구들의 고래는 외줄이나 두 줄인데, 5호·11호 집터의 경우 세 줄이 확인된
다. 고래열의 너비는 20~25cm 정도이며, 둑은 바닥면을 파낸 후 시설하였고, 고래 상면에 흙
과 돌을 이용해 마감하였다. 연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배연부를 확인하기 어려우나, 1, 2, 5호
5) 한양문화재연구원, 2018, 『烏山 外三美洞 遺蹟』
6) 기호문화재연구원, 2013, 『烏山 塔洞·斗谷洞 遺蹟』
신라~통일신라의 오산 79
그림 . 세교동 산 41-5번지 유적 1호 집터 및 출토유물 각종(세종문화재연구원 2016에서 수정 후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