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9 - 오산학 연구 5집
P. 59

108보로 돌을 채워 신축하였다. 체성 위에 여장 309첩을 신축하고 벽돌을 덮어 회를 발랐다. 남

                장대 6칸은 3척을 안쪽으로 옮겨 이건 하면서 단청을 다시 하였다. 4곳의 문 가운데 남문은 8칸
                문루를 갖추어 들보 위에 회를 발랐고, 서문 역시 8칸 문루의 기와를 수보하였다. 북문과 동문
                의 좌우 석축을 고치고 문짝 2개씩을 다시 갖췄다.             62)

                 정조는 독산성이 소중한 것은 원침에서 밀통(密通)하고 1760년 사도세자가 주숙(駐宿)한 곳이
                기 때문이며, 장대인 진남루는 예전에 등림한 곳이니 중수한 지금 마땅히 비문을 지어 내릴 것
                                                                 63)
                이니 원임 각신 중에서 좌상 채제공이 써서 올리게 하였다.  그리고 1792년 10월 7일 성황신에
                게 독산성의 수개를 알리는 고유제를 올렸다.             64)
                 1792년의 독산성 수축은 이듬해 창설되는 장용외영이 주둔할 성곽을 정비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1793년 1월 수원부를 유수부로 승격하면서 유수는 장용외사를 겸하게 하였는
                데, 다른 유수영들이 산성을 주둔지로 삼고 있는 예에 따라 독산성을 수축하였던 것이다. 정조
                는 독산성의 수축을 통해 얻은 자신감을 바탕으로 곧이어 진행되는 화성성역을 준비하였다. 수

                원부 신읍치에 읍성이 없는 것을 우려하여 1794년 화성(華城)의 축성을 시작하였고, 1796년 화
                성이 완공된 후에는 화성이 장용외영의 주성(主城)이 되어 독산성과 협수체제를 구축하며 경기
                남부의 방어를 확고히 다졌다.         65)



                5. 1800년대 이후의 정비



                 건릉 수개 공역이 있은 후 건릉과 독산성을 간심한 김조순은 독산성 서문 밖 기슭에 10여 기
                                                                  66)
                의 민총(民塚)이 능소를 아래로 내려다보는 형국이 되어있고  또한, 독산성 서문 밖으로 나 있
                는 길은 산성에 거주하는 민호가 경작하거나 장사지낼 때 다니는 길로 능소에서 보이기 때문에
                나무를 심어 가리더라도 이 길 외에 다른 길이 없으므로 몰래 통행할 수 없다며 산성 남쪽에 약







                62)  『日省錄』正祖 16年 10月 3日 戊辰. “城周回一千四步內 體城新築七百三十二步 修築二百七十二步 水門三處全數改築 沙汰十二

                  處合長一百一步 廣一百八步 擔石新築 女城三百九堞全數新築蓋甓塗灰 南將臺六間向內三尺移建改丹靑 南門樓八間樑上塗灰
                  門確金一箇新備 西門樓八間修補蓋瓦 北門左右改石築 城門二隻新備 東門左右改石築 城門二隻新備 門確金一箇新備.”
                63) 『日省錄』正祖 16年 10月 3日 戊辰.
                64)  『內閣日曆』 正祖 16年 10月 7日 壬申. “御製禿城山城修改後告由 城隍神文 諏日之吉 廼營疆理 廼告厥成  百垜千雉 地以增重
                  儼若大都 維萬斯年 壯我鴻圖.”
                65) 앞의 글(정해득, 2009, 오산시사)
                66) 『日省錄』純祖 4年 10月 30日 乙酉.


                                                                        오산 독산성의 가치성 연구  57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