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0 - 오산시 지명과 유래
P. 70

신장동(新場洞)










                  1989년  궐리의  일부와  수청리,  금암리,  내삼미  1리와  2리,  은계리를  통합하여  10통
                  70반으로  동이  되었다.  원래  1789년(정조  13)에는  시봉면,  삼미면  지역이었으며,
                  1899년에는  문시면  지역과  초평면  지역으로  있다가  1914년  문시,  초평,  그리고  어
                  탄면으로도  포함되었었다.  신장동  지역은  조선시대  중규면  구정촌이라는  색다른  지
                  명이  등장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중규면이라는  지명은  다른  문헌에는  그  기록이  나

                  타나지  않는다(공씨  족보에  등장).  신장동은  오산화성궐리사를  중심으로  오랜  세월
                  동안  마을  형성에  크게  이바지한  곳으로  최근에는  대형  아파트가  많이  들어서면서
                  한때  오산의  6개  동  가운데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이기도  하였다.



                  ■  새장터(마을)



                  신장동의  궐동에  있는  땅이름이다.  6·25한국전쟁  이후  오산천변에  새로  생긴  장터
                  라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새장터(쇠장터)라고도  불렸다.  오산동의  싸전시장(구장터)
                  의  대항적  시장이기도  하였는데,  우시장만이  형성되어  남으며,  이  우시장도  청학동
                  으로  옮겨졌다가  현재는  발안으로  이전되고  우시장은  없어졌다.  예전에는  이곳의
                  우시장이  유명하여  붙여졌다고도  한다.  새장터의  한자  이름이  신장동(新場洞)이다.





                  (1)  내삼미동(內三美洞)





                  삼미동은  원래  주변에  소나무가  많아서  소나무골,  즉  송리(松里)라  불렸는데  조선시

                  대  정조가  아버지의  묘를  양주  배봉산에서  화산으로  천봉할  때  행차하여  경기도관
                  찰사에게  마을  이름을  물으니,  ‘문시면  송리’라고  아뢰었다고  한다.  정조가  “문시에
                  는  오동나무,  죽미에는  대나무,  삼미에는  소나무가  아름답고  많으니  삼미라고  부르
                  라”  하여  삼미가  되었다고  전한다.  마을의  안쪽은  ‘안삼미’  즉  내삼미가  되었으며,
                  바깥쪽은  외삼미가  되었다고  전한다.



                  <내삼미1동>










                                                         -  70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