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6 - 오산시 지명과 유래
P. 66

궐동  소하천에  있는  다리이다.



                  ■  궐동지하도(지하도)



                  꿈빛나래청소년문화의집(옛  신장동주민자치센터)앞에서  궐동지구대가  있는  곳까지
                  경부선  철도  밑을  통과하는  지하차도로  연장147m,  폭  12.5m로  1983년에  완공되었
                  다.  현재는  지하도  일부  보도를  줄이고  도로  폭을  넓히는  공사를  진행했다(2016).



                  ■  신장빗물펌프장(펌프장)



                  궐동55-1에  있으며,  궐동지대가  낮아  장마가  지면  물에  잠김을  막기  위해  설치한

                  것으로  유역  면적  40ha로  시설  용량은  분당  170t이다.


                  ■  대호밭(마을)




                  궐동이었으나  남촌동에  포함된  마을로  예전에  대밭(竹田)이  많이  있어  붙여진  이름
                  이다.  일설에는  마을  뒤의  생김새가  큰  호랑이(大虎)  머리를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예전에  마을에  호랑이가  나온  적이  있었다고  하며,  일설에는  마
                  을의  생김새가  호랑이의  눈을  닮은  곳이  있어  붙여졌다는  설도  전해지고  있다.  그
                  러나  1899년(광무3)에  발간된『수원군읍지』에는  대화촌(大花村)이라고  기록되어

                  있고,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  때에는  죽전(竹田)이라고  표기하고  있는  것
                  으로  보아  대나무와  매우  깊은  관계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일설에는  이곳  대호밭의  옛  지명이  상죽담이고,  현  오산대역  있는  곳이  바로
                  하죽담이라고  불렀다고도  한다.  원래  죽담은  죽미의  옛  이름으로  내삼미동의  죽미
                  마을의  옛  이름으로  죽담이라는  명칭이  등장한다.



                  ■  궁터(마을)



                  예전에  궁(宮)터가  있어  붙여졌다고  한다.  일설에는  마을의  생김새가  활의  모양인

                  궁(弓)처럼  휘어져  있으면서  긴  데서  유래하였다고도  한다.  또한  일설에는  활을  쏘
                  는  활터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도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1899년(광무3)에
                  발간된『수원군읍지』에  의하면  초평면  궁기리(宮基里)가  나오고,  1914년  일제가
                  실시한  행정구역  개편  때에는  초평면의  궁대(宮垈)  등의  명칭이  나오는  것으로  보
                  아  궁(宮)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필자는  행궁(行宮)이  있던  마을





                                                         -  66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