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3 - 오산문화총서 8집
P. 43
표 4. 조선시대 암문 규모의 비교자료
규모
명칭 구조
높이 길이 너비
오산 독산성 암문지 평거식 2.1 2.9 2.25
남한산성 암문2 평거식 1.43 1.3
남한산성 암문6 평거식 1.55 0.77
남한산성 암문13 평거식 1.9 1.7
남한산성 암문14 평거식 1.2
남한산성 암문15 평거식 1.8 3.6 1.8
남한산성 암문16 평거식 1.9 1.73
성주 독용산성 동암문지 평거식 1.0 1.7
성주 독용산성 서암문지 평거식 1.2 5.0 1.8
성주 독용산성 남암문지 평거식 0.85 1.1
칠곡 가산산성 암문1 평거식 2.26 1.6 1.2
칠곡 가산산성 암문3 평거식 3.0 2.0 1.8
칠곡 가산산성 암문5 평거식 2.3 1.3
칠곡 가산산성 암문6 평거식 0.7 1.1
칠곡 가산산성 암문10 평거식 1.98 2.1 0.58
칠곡 가산산성 암문11 평거식 2.05 1.7
칠곡 가산산성 암문13 평거식 2.00 3.0
구미 천생산성 암문 평거식 1.50 1.15
수원 화성 북암문 홍예식 / 전축 2.22 1.12
수원 화성 동암문 홍예식 2.78 1.86
북한산성 서암문 홍예식 2.85 2.6
북한산성 부왕동암문(원각문) 홍예식 / 평거 1.93 2.67~3.73
북한산성 중성암문 평거식 1.80 2.1
북한산성 가사당암문 평거식 2.0 2.0
이러한 조선시대 산성과 읍성들과 비교해 볼 때, 독산성의 문지는 조선시대 읍성 문지의 기본
설계를 바탕을 기본으로 축조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정유년에 파사성의 방어를 맡았던 변응성
이 독산성의 수리를 담당했을 때, 문지의 수리가 이루어졌다면, 파사성 남문지와 유사한 형태로
문지구조가 확인될 가능성을 지적해보고 싶다. 아직 문지의 구체적인 조사는 실시되지 않았으
나, 앞으로 문지의 내·외부를 조사한다면 주초석, 적심, 중복흔적 등의 흔적을 주안점을 두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오산 독산성 문지 현황과 특징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