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1 - 오산문화총서 8집
P. 41
표 3. 조선시대 성곽 중 암문 확인 현황 다음과 같다. 이러한 규모와 암문수량을
성곽명 규모 암문 수량 비교해보면 단순히 면적에 비례하지 않
칠곡 가산산성 5,071m 15개
으며, 용도와 입지에 따라 수량이 결정되
남한산성 11,800m 15개
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문헌기록과 조사
문수산성 24,000m 3개소
를 통해 암문의 수량이 확인된 성곽의 사
인천 강화산성 7,112m 4개
례를 정리해보면, [표 3]과 같다. [표 3]에
공주 공산성 2,660m 1개
구주성 5,000m 4개 서 보면, 암문이 가장 많이 확인되는 성곽
상주 금돌성 4,230m 2개 은 대성산성으로 규모는 7,100m 암문은
인천 강화외성 24,000m 6개 16개소가 파악되어졌다. 북한산성의 경우
남한산성 12,356m 16개
에는 훨씬 더 규모가 크지만, 문지는 7개
대구읍성 2,650m 2개
소가 파악되어졌다. 이러한 양상을 볼 때,
대흥산성 10,100m 4개
암문의 성곽의 기능과 용도, 목적 등에 따
대성산성 7,100m 16개소
라 암문의 설치개수가 현저히 달라지는
고양 북한산성 12,700m 7개
남한산성 8,400m 15개소 것을 알 수 있다. 또, 독산성보다 작은 청
성주 독용산성 3,658m(13,065척) 3개 석진성에서도 암문이 2개 존재하는 것 또
경주 부산성 7,500m 1개 한 암문의 설치가 성곽의 규모와 비례하
청주 상당산성 4,200m 2개
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독산성은 주
정읍 입암산성 5,180m 3개
로 출입하는 문이 존재하고 있었기 때문
진주성 1,760m 1개
에, 부가적으로 암문 1개소만 존재하여도
선산 천생산성 1,298m 1개
큰 문제가 없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청석진성 720m 2개
수원 화성 5,744m 5개 암문의 규모로 비교해본다면 북문지(상
오산 독산성 1,095m 1개 층)·동문지보다 더 크거나 유사하여 암
부산 금정산성 17,300 4개 문에 대한 기능적 측면으로 본다면 의문
점이 생길 수 있다. 독산성의 암문보다 더
작거나 적은 경우도 존재하지만, 남한산성, 북한산성, 수원 화성 등 홍예문을 갖추고 보다 규모
가 큰 암문 또한 많이 존재하고 있다.[표 4] 결국 이는 먼저 살펴본 바와 같이 암문이 설치되는
주변의 성벽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지형이 어떤지에 대해서 구조와 규모가 많이 차이가 나는 것
으로 판단된다. 독산성의 문지 또한 남문지쪽에서는 문지의 내부에서의 출구가 잘 보이지 않고,
약간 서문쪽에서 보이게 조성되어 있어, 약간 성벽이 꺽인 곳에 개구한 것과 같은 형태를 보이
고 있는 것으로 보여, 암문적인 선택적인 요소가 반영된 부분이 아닐까 한다.
오산 독산성 문지 현황과 특징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