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6 - 오산문화총서 8집
P. 36
여주 파사성 남문지 (2018) 원주 영원산성 북문지(2016) 원주 영원산성 북문지(2016)
보은 삼년산성 8차 동문지(2013) 보은 삼년산성 7차 동문지(2013) 보은 삼년산성 6차 동문지(2013)
구미 천생산성 암문지(2016) 성주 독용산성 동문지(1999) 밀양 추화산성 동문지(2002)
김해 마현산성 서문지 김해 분산성 동문지 창원 진례산성 남문지(2003)
그림 10. 북문지 현황(2022) 및 과거모습
읍성, 병영성, 진성의 경우 대체로 개거식 혹은 홍예문 문지가 확인된다. 발굴조사된 문지가
개거식의 형태로 발굴되더라도, 문헌기록으로는 홍예문이 존재했던 것으로 알려지는 경우도 있
기 때문에 대체로 홍예문을 이루는 경우가 많았던 것으로 가정해볼 수 있다.
34 박현준·서승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