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9 - 오산문화총서 8집
P. 39
문지를 수축하는 경우 문지가 좁아지게 경우가 다수 확인된다. 보은 삼년산성, 강진읍성 등에
서 이러한 양상이 확인되는데, 이는 기존에 축조된 육축부를 활용하기 위해 덧붙여 쌓아올리기
때문에 문지 통로부의 너비가 좁아지는 영향으로 이어지는 측면으로 보인다.
표 2. 조선시대 읍성, 병영성, 진성 발굴조사 성문의 현황
문지 규모(m) 둔테석 바닥
유적명 평면형태 시설 비고
구조 너비 길이 형태 구조
나주읍성 홍예식? 3.3~ 옹성
개거D식 12.8? 원형 박석 1404(태종4)
동문지 개거식 4.1 둔테석
옹성
나주읍성 홍예식? 1404(태종4)
개거D식 5.9 7.0? 원형 박석? 둔테석
북문지 개거식 중복양상
적심
옹성 문루
울산 경상좌도 4.2~ 5.7~
개거식 개거A+D 원형 박석? 둔테석 중복양상?
병영성 서문지 12.8 13.9?
등성시설 1417(태종17)
문루
언양읍성 2.6~ 3.4~ 옹성
개거식 개거B식 - 박석? 중복양상
남문 영화루 12.6 11.2? 배수구
1500년
문루 유실
서천읍성 3.1~ 4.5~
개거식 개거B식 원형 박석 둔테석 1483~1450
동문지 8.9 8.3
사이 축조
원형 옹성
천성진성 1544(중중39)
개거식 개거D식 2.9 6.9 + 흙다짐 둔테석
북문지 ~1592
방형 *와적층
중복양상
옹성
강진읍성 개거식 개거B식 2~2.2 6.8? 원형 흙다짐 북쪽구릉
둔테석
1475년(성종6)
홍성 결성읍성 3.3~ 원형+ 옹성 1451년
개거식 개거D식 8.2? 흙다짐
동문지 3.45 방형 둔테석 (문종1년)정문
남원읍성 박석 문루1692년
개거식 개거B식 5.7 6.8 - 문지방
북문지 보도? (숙종18)
산성의 경우 지형 자체가 고지대에 있고, 문지의 전면에 옹성을 시설하기 어려운 경사면인 경
우가 많지만, 평지에 위치한 읍성 등의 경우 방어시설로서 대부분 부가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독산성의 문지의 경우 동문지와 북문지는 직선형의 단순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서문지
와 남문지의 개거식을 이루고 있으며, 역시 직선형의 구조를 이루고 있다. 아직 문루가 확인되
오산 독산성 문지 현황과 특징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