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3 - 오산문화총서 8집
P. 33
좌측벽 세부 우측벽 세부
복원전 모습(1978) 복원후 전경(2016) 복원후 둔테석 세부(2016)
그림 10. 북문지 현황(2022) 및 과거모습
개석은 5매를 이용하여 올려서 조성하였다.
과거의 모습과 비교해보면, 하층문지가 발굴전까지 전혀 노출되지 않았다. 당시의 모습으로
볼 때 약간 육축부가 주저앉은 것을 다시 세운 것으로 복원이 이루어진 것으로 볼 때 문지의 구
조는 크게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조사 이후, 현대는 다시 한번 문지가 복원
된 상태로, 원래는 흙다짐하였던 면에서 하층문지의 양상을 따라 복원하여 박석한 것으로 복원
하였다. 또한 원래 부분적으로만 노출되어 있던 둔테석이 완전하게 노출되었다. 개석의 문주공
에서는 금속부식흔이 확인되는 것으로 볼 때, 실제 사용되었던 개석으로 추정되어진다. 북문지
는 내부의 조선시대 건물지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이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되었다. 주
변의 조사에서 삼국시대 성벽이 조사되었기 때문에 조선시대 이전에 축조되었을 가능성 또한
제시될 수 있으나, 조선시대 후기 문지와 석축으로 인하여 전체적인 특징을 완전히 파악하기는
어려운 상태이다. 그러나 시굴조사에서 확인된 층위조사를 통해 볼 때, 문지와 연결되는 층위에
서 조선시대 유물이 출토되는 것으로 볼 때, 조선시대 임진왜란 이전에 축조되어 현재의 북문지
로 새로이 축조될 때까지 사용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오산 독산성 문지 현황과 특징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