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8 - 오산문화총서 8집
P. 188

부아산 아랫마을의 이름이 궁촌(宮村), 능안(陵內)인 것 또한 예사롭지 않다. 백제 구원행궁의
                                                69)
               옛터이거나 할미당이 있었던 석담(石潭) 의 적석총과 어떤 관련 있음이 틀림없다.
                필자는 광개토왕비문에 등장하는 모로성(牟盧城)의 모로를 ‘몰’ ‘말’로 읽어 경기도 용인시(龍
               仁市)의 옛 이름으로 본다. 백제 이잔 58城 중 일곱 번째로 등장하는 모로성(牟盧城)을 경기도

               용인시(龍仁市) 구성면 일대에 비정한다.



               8. 彌沙城(미사성)


                고구려 광개토왕이 討한 백제 이잔(利殘)의 여덟 번째 읍성은 미사성(彌沙城)이다. 과연 미사

               성(彌沙城)의 위치는 어디였을까? 필자는 미사성의 위치와 정체를 오랫동안 찾아다녔다. 미사
               성(彌沙城)을 경기도 하남시 미사동의 미사리와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의 미사리로 석문한 선행
               연구 때문이었다. 그런데 하남시의 미사리(美沙里)와 가평군의 미사리(美沙里)는 바닷가(彌)에

               위치한 읍성이 아니다. 그러므로 논의의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그 결과 미사성(彌沙城)의 정체
                                                70)
               와 위치를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雨汀邑) 으로 결론지었다.


                1) 미사성(彌沙城)은 바닷가의 읍성을 의미한다.
                미사성(彌沙城)의 미(彌)는 바다, 사(沙)는 사구(砂丘)를 가리킨다. 미사(彌沙)는 곧 해안사구
                                         71)
               (海岸砂丘,coastal sand-dune) 를 가리킨다.
                그렇다면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에 뚜렷한 해안사구가 있는가? 단언하여 그렇다. 바로 미국
               공군이 폭격 비행을 훈련하던 우정읍 고온리의 ‘쿠니사격장’이 바로 그곳이다.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매향리(埋向里)와 고온리(高溫里)는 해수면으로 잠기는 두 개(雙阜)의
               산언덕이다. 그 끝자락에 구비섬, 위섬, 농섬이 놓였다. 우정읍 매향리와 고온리 앞바다에 놓인

               섬들이 바로 미 공군 쿠니사격장의 포격 목표물이다.


                2) 매향리와 고온리 앞바다의 해안사구는 거대하다.

                구비섬, 위섬, 농섬에 뿌리를 두고 길게 형성되었다. 이곳에 쌓인 해안사구를 보면 서해는 모





               69) 석담(石潭), 용인시 처인구 마평동 소재.
               70) 우정읍(雨汀邑),우정읍사무소홈페이지, 2015.
               71) 해안사구(海岸砂丘,coastal sand dune), 브리태니커.



               186  임종삼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