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3 - 오산문화총서 8집
P. 193

도 51. 고잔                                도 52. 수리산


                 위의 근거를 들어 고사연성(古舍鳶城)의 고사(古舍)를 ‘곶(串)’으로 판단한다. 또 고사연성(古
                                                                            78)
                舍鳶城)의 연(鳶)을 수리산으로 해석한다. 수리산 남쪽에 고잔역(古棧驛) 이 있고 수리산 북쪽
                에 연성대학교가 있다.
                 이잔 58城 중 아홉 번째로 등장하는 고지연성(古舍鳶城)의 정체를 경기도 안산시 고잔동(古棧

                洞)과 시흥시 연성동(蓮城洞)에 비정한다.







                맺음말





                 신라향가에 쓰인 ‘隱’과 ‘乙’은 우리말의 조사다. 隱은 우리말의 주격조사 ‘은,는,이,가’이고, 乙
                은 우리말의 대격조사 ‘을(를)’이다. 그러므로 주격조사 ‘隱’과 대격조사 ‘乙’은 확실히 구분된다.

                ‘선화공주님隱 서동방乙 사랑했다’의 차이다. ‘왜가 백잔을 깨뜨렸다’가 아니라 ‘왜를 불러들이는
                백잔을 깨뜨렸다’의 극명한 차이다.

                 광개토왕비문을 해석한 한·중·일 학자들의 석문은 신묘년 기사에서 극명하게 다르다. 소리
                글인 우리말의 문법을 모르기 때문에 이런 오류가 발생하였다고 본다. 광개토왕비문에 담긴 이
                두적(吏讀的) 표현을 간과하였기 때문으로 판단한다.





                78) 고잔역(古棧驛),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453-53.


                                                        광개토왕비문에 등장하는 모수성은 독산성일까?  191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