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8 - 오산시역사문화이야기
P. 88

에  도착하여  진지  구축

                  ❍ 1950년  7월  5일  –  새벽이  되자  폭우가  쏟아지고,  이후  폭우가  잦아지면서  짙은
                     안개가  끼어  시계가  좋지  않음.  동이  트기  전  야전식량으로  서둘러  아침식사를
                     마치고  인민군의  출현을  기다림
                  ❍ 1950년  7월  5일  오전  7시  –  차츰  시계가  좋아지며  수원을  점령하고  있던  인민
                     군이  8대의  전차를  앞세우고  인민군  제4사단  17,  18연대  병력  4,000명이  죽미

                     령을  향해  진격해오면서  전투가  시작됨.  인민군이  죽미령  보병  진지를  올라오는
                     순간  미군은  포(2.36인치  바추카포,  75mm  무반동총  등)를  발사하였으나  포탄을
                     맞은  인민군의  전차는  미동도  하지  않고  계속  전진해옴.  그리고  인민군의  전차
                     대는  죽미령을  넘어  오산시내로  진입함.  이때  40여  분간의  전투에서  미군은  20
                     여  명의  피해를  입었으나  적의  전차는  파괴하지도  못함
                  ❍ 1950년  7월  5일  오전  8시  15분경  –  미군  포병은  보유무기  중  가장  화력이  쎈

                     105mm  곡사포의  대전차  포탄으로  탱크  2대를  파괴했으나,  가지고  있던  포탄  6
                     발을  전부  소모하자  속수무책으로  인민군의  공격을  막아내지  못함
                  ❍ 1950년  7월  5일  8시  15분  이후  –  차츰  근접전이  되었는데  9시경  인민군의  33
                     대의  전차가  나타나자  겁에  질린  병사들의  진지에서  이탈하는  가운데  피아군  간

                     의  전투는  더욱  치열해짐.  이날은  날씨도  좋지  않아  아군의  전투기  지원을  받지
                     못했기에  피해가  더욱  컸다.
                  ❍ 1950년  7월  5일  9시  이후  –  미군의  포격을  피하기  위해  국도  양변으로  산개한
                     북한  인민군은  죽미령  동쪽의  뱀골(92m)능선으로  침입하여  미군들의  방어선을
                     측면에서  위협하기  시작하였음
                  ❍ 1950년  7월  5일  오후  2시경  –  북한  인민군은  10배가량  되는  우세한  병력으로

                     삼면에서  공격해  왔고,  이에  스미스부대원들은  사투를  계속하였으나  시간이  흐
                     를수록  상황은  불리해져  한  시간  정도면  부대가  전멸할  상황이  되었음.  결국  스
                     미스부대의  퇴각이  불가피하게  되어  스미스  중령은  어쩔  수  없이  철수  명령을
                     내렸으며(오후  2시  40분),  안성과  평택  간을  거쳐  천안에  집결토록  했음.  이날

                     한국군  17연대도  갈곶리에  진지를  구축하여  죽미령을  돌파한  북인민군과  전투를
                     벌였으나  전력의  열세로  후퇴함.
                  ---------------------------------------------------



                  ※  오산죽미령전투의  의의:




                    오산죽미령전투가  있음으로  해서  속수무책으로  밀리고  있던  한국군의  패퇴
                  상황을  늦추어  낙동강방어선전투(낙동강전투)를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을  벌어

                  주어  낙동강  전투를  승리로  이끌게  한  밑거름이  된  중요한  전투가  된  것임.
                  스미스부대의  임무인  6·25전쟁의  남하  상태를  지연시키는  것이  임무였는데,




                                                         -  88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