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7 - 오산시역사문화이야기
P. 197
있었으니, 수철리, 누읍리, 타종리, 마유동, 신촌, 모전촌, 용란리, 서촌, 여대리, 내
창동, 어은굴리, 대화촌, 궁기리, 어인포 등이다. 그리고 1895년(고종 32년)에 발간
된『기전 수원부읍지』에도 『화성지』와 마찬가지의 면이었으나, 4년 후인 1899
년(광무 3년) 5월에 수원군의 군수인 이범선이 쓴 『수원군읍지』에는 초평면으로,
서촌·여대리·누읍리·모전촌·궁기리·내창동·어은굴리·대화촌 등의 방리가 속했다. 당
시의 수원부읍의 지도에는 초평(草坪)으로 나와 혼동을 가져오고 있으니, 당시에는
쓰는 사람에 따라 면의 명칭이 달라진 것으로 보인다. 한 가지 특이한 사항은 1831
년에 발간된 『화성지』에서 오산화성궐리사가 초평면에 속했으며, 이런 사실은
1914년까지 계속되어 초평면의 지역이 오래동안 현재의 신장동 일부까지 포함되었
던 것으로 보인다. 1914년 4월 1일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청호면·초평면·산
성면·문시면 등의 4개 면이 성호면으로 통합되어 오늘날의 오산시가 탄생한 것이
다. 초평면은 오산의 서부로 전원도시이며, 지금까지는 개발이 더디었지만 최근 개
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이다. 1989년 1월 1일 오산이 시로 승격되면
서 옛 지명을 되찾아 초평동으로 시작한 농·공·주거지역이 공존하는 지역적 특성을
갖고 있다. 이상재충신정려문이 있다.
★가수동(佳水洞)
옛날부터 물맛이 좋고 물이 아름답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지금은 냇물
이 맑고 깨끗하지는 않으나 예전에는 오산천의 물도 깨끗하고 아름다워 외지에서는
이곳을 물이 아름다운 마을 가수동이라 했다고 전한다. 가수동이 문헌에 등장하는
것은 1789년(정조 13년)에 초평면의 방리로 가사(加士)리란 지명으로 나오고, 1914
년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 시에는 샘골로 통합하여 가수동이 되어 성호면에 편입이
된다. 이런 사실로 보아 가수동의 어원적 변화는 가술→가숫골→가술리→가수동으
로 변한 것으로 보인다.
가시미산(산)
가수동 뒤(북쪽)의 산으로 가시니산이라고도 하였으며, 산의 모양이 기러기의 가슴
가운데 모양이라 붙여진 이름이다.
갑골산(산)
관봉산, 감투봉이라고도 불렸다. 산의 모양이 거북이 등처럼 완만하게 솟은 야트막
한 산으로 높이는 낮으나 주변에선 빼어난 산으로 인식되어 붙여진 이름이다.
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