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9 - 오산학 연구 6집
P. 49
<도판 2> 유적 내 조합관계
흥미로운 점은 조합관계에 따라 완벽하게 공간분리가 되는 것이 아닌, 같은 공간 내에서 서로
공존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모습은 조합관계 특히 철모+환두(대)도/철도자/철부/철겸과 구슬
의 조합관계가 서로 짝을 이룰 수 있게 배치했다는 점이다. 확실한 조합관계만 대상으로 삼았음
에도 4지점의 북쪽구역, 5-1지점의 북쪽구역, 5-2지점의 북쪽구역에서 두 조합이 서로 병렬적
으로 배치되는 모습이다. 이는 1:1 또는 1:2로서 묶을 여지가 있다. 이러한 모습은 같은 공간 안
에서 병렬적으로 서로를 타자화하며 인식하고, 다른 유물조합상으로 부장한 것은 개인의 정체
성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요소이다.
오산 수청동 고분군 출토 구슬의 양상과 의미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