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5 - 오산학 연구 6집
P. 45

같은 모습은 수청동 조영집단이 유리구슬의 유통과정에서 지역 거점의 역할을 하면서 특정 색

                상의 유리를 입수했음을 보여주고, 곧 선호도를 반영하는 것이다.
                 한편 구슬 중 중층유리구슬도 출토되었다. 중층유리구슬은 일반적으로 금박유리구슬이라고
                불리는 구슬이다. 중층유리구슬은 금색을 의도하면서 제작한 구슬이다. 이 구슬은 크기가 다른

                유리관 사이에 금속박을 넣어 제작하는데, 그 금속박은 일반적으로 金이 사용된다고 알려져 있
                다. 하지만 막상 금속박을 과학적 분석방법으로 살펴본 결과 금박과 은박이 모두 검출되었다(김

                규호 외 2007). 따라서 이중의 유리임을 강조한다는 의미에서 ‘중층유리구슬’이라는 표현이 사
                용된다(조연지 2013, 권오영 2014).
                 중층유리구슬은 황금색을 의도한 것처럼, 일반적인 구슬보다 높은 가치가 있을 것으로 보인

                다. 주로 위세가 높은 유구에서 출토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층유리구슬이 출토는 수청동 고분
                군의 위상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중층유리구슬은 모두 환옥이 1,000
                                                     3)
                점 이상 출토된 유구에서 출토된다는 점이다 . 사례가 많지 않아서 섣불리 판단할 수 없지만,
                유리구슬의 양과 비례하는 경향성은 있어 보인다.
                 홍옥수구슬은 유리구슬 다음으로 높은 비율을 보인다. 환옥은 1,153점, 관옥은 7점, 다면옥은
                8점으로, 총 1,168점이 출토되었다. 홍옥수구슬 역시 환옥이 주를 이룬다는 것은 환옥과 마찬가

                지로 경식 등 장신구에서 목줄로 사용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다만 그 출토양상이 소량에 비교
                적 직경이 큰 구슬이라면, 장신구에서 중심장식(pendent)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는

                영남지역 경식 등의 장신구에서 중심장식으로 곡옥을 주로 사용하는 반면, 서울경기·호서·호
                남 지역에서는 다른 재질·형태의 구슬이 그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발굴·조사 결과를 볼
                때, 여러 구슬 중 대형의 홍옥수 환옥이 중심장식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玉구슬은 환옥 2점, 관옥 8점이 출토되었다. 청동기시대 이래 한반도에서 관옥은 대부분 석
                재를 이용해서 제작하였다. 주로 천하석과 벽옥을 이용해서 제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로

                그 수가 적기 때문에 일반화할 수 없지만, 이러한 모습이 수청동 고분군에도 반영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수정구슬은 환옥 67점, 다면옥 26점으로 총 93점 출토되었다. 이러한 모습은 상당히 이례적

                인 모습이라고 지적된 바가 있다(박슬기 2012). 하지만 이러한 모습은 5-5지점 22호 주구토광





                3) 4지점 15호 주구토광묘에서 환옥 1,877점과 중층유리구슬이 3점, 4지점 23호 주구토광묘에서 환옥 5,489점과 중층유리구슬
                 2점, 5-1지점 19호 주구토광묘에서 환옥 2,880점과 중층유리구슬 4점, 5-1지점 57호 주구토광묘에서 환옥 2,104점과 중층유
                 리구슬 1점, 5-5지점 34호 주구토광묘에서 환옥 1,575점과 중층유리구슬 4점이 출토되었다.


                                                           오산 수청동 고분군 출토 구슬의 양상과 의미  43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