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6 - 오산학 연구 6집
P. 46

묘에서 수정 환옥이 56점 출토되었기 때문에 보이는 착시현상이다. 그 이외의 대부분의 유구들

               에서는 1~2점가량 출토된다. 따라서 수정이 소량 출토되는 경향은 주변 지역과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5-5지점 22호 주구토광묘의 사례는 앞으로 연구될만한 사례이다. 출토된 56
               점의 수정 환옥과 함께 청동제 동탁이 출토되었기 때문이다. 동탁이 의기의 성격이 강하다는 점

               (李淸圭 2002)을 고려하면, 피장자의 성격 역시 의례와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유구
               에서 일반적이지 않게 56점의 수정 환옥이 출토되었다는 점은 분명 다른 분묘와는 맥락이 다르

               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Ⅲ. 구슬과 철기의 부장양상





                수청동 고분군에서는 다양한 구슬들이 출토되었다. 구슬의 출토량, 재질, 종류는 앞서 밝힌
               것처럼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추가로 구슬의 의미를 좀 더 살펴보기 위해서는 부장되

               는 맥락을 살필 필요성이 있다. 특히 수청동 고분군에서는 구슬과 철기의 부장양상을 비교해야
               한다. 보고자는 구슬이 철제 무기의 부장과 뚜렷하게 대비된다고 지적한 바 있다(이창엽 2012).

               즉 구슬과 철제 무기는 함께 부장되지 않다는 것이다.
                구슬과 철기의 부장양상을 검토해 보면, 1. 구슬만 부장된 유구, 2. 철기만 부장된 유구, 3. 구
               슬과 철기가 함께 부장된 유구로 나눌 수 있다. 구슬만 부장된 유구는 92기이다. 구슬은 유리구

               슬 중 환옥이 주류를 이루고, 그 외의 구슬이 부가되는 정도이다. 다만 유리구슬이 단독으로 출
               토(45기)되거나, 또는 홍옥수구슬만 단독으로 출토되는 유구(2기)도 있다. 따라서 구슬만 부장

               된 유구 내에서도 유리구슬만 출토된 유구, 홍옥수구슬만 출토된 유구, 그리고 유리구슬과 홍옥
               수구슬이 조합되어서 출토되는 유구로 세분할 수 있다.
                철기만 출토된 유구는 87기이다. 수청동 고분군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철기가 출토되었다. 대

               표적으로 환두대도, 환두도, 철모, 철부, 마구류, 성시구, 철겸 등이 있다. 이 중 가장 높은 출토
               량을 보이는 것은 철모이다. 따라서 특정 철기가 단독으로 출토되는 사례를 제외하면, 철모를
               중심으로 조합상을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철모가 출토된 사례는 철모+환두(대)도와 철모+철도자/철부/철겸으로 나눌 수 있다. 철
               모+환두(대)도는 24기로 철기 조합관계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인다. 이 조합은 다시 마구류




               44  박준영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