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5 - 오산학 연구 6집
P. 145

표 1. 평화교육의 여러 범주(김남철, 2005:157)
                         지식의 영역                    기술의 영역                자세·가치·태도의 영역


                      식민주의/제국주의                   협동/놀이/노작                    자기 존중
                          분단/통일                       대화                      타인 존중
                          전쟁/군축                       토론                      상호 이해
                            핵                      비판적 사고                       양보
                           환경                      창의적 활동                       자율
                           갈등                         중재                       비폭력
                           계급                         타협                      공동체 의식
                           인종                         명상                     상태학적 의식
                           인권                                               미래에 대한 전망
                           정의                                               진리에 대한 헌신
                          민주주의                                                  상생
                            성
                           관용



                 역사를 공부하는 주된 목적 중 하나는 인간과 사회가 직면하는 문제를 능동적이고 효율적으

                로 해결하는 데 참여하는 인간을 기르는 데 있다. 평화는 인간사회가 지향하는 가치 중 하나이
                며, 평화로운 사회의 건설에 참여하려는 인간을 기르는 것은 교육의 중요한 목적이다. 역사를
                비롯한 사회현상을 다루는 과목은 이러한 교육적 가치를 이루는 데 직접 책임이 있다(김한종,

                2013:127).
                 그렇다면 전쟁사에서는 이러한 평화교육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 본래 평화는 전쟁이 없

                는 상태를 의미했다. 전쟁으로 일어나는 참상을 막는다는 것이 평화운동이나 평화교육의 목적
                이었다. 평화와 평화교육의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근래에는 평화를 더 적극적 개념으로 사용한
                다. 모든 형태의 폭력이 없는 상태가 평화라는 것이다. 그렇지만 평화를 깨뜨리는 가장 대표적

                수단이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평화의 반대되는 개념으로 인식되는 것이 전쟁이라는 점에
                서, 전쟁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는 평화교육에서 중요하다(김한종, 2013:92).
                 전쟁사 교육에서 역사적 사실을 학습하기 위한 전쟁의 전개과정은 전통적으로 매우 자세히

                서술되고 있다. 또한 역사교육에서 다루는 내용의 상당 부분은 대외관계사와 전쟁의 승패이다.
                전쟁이 일어나게 된 원인과 역사전개에 미친 영향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다. 하지만 평화의 관
                점에서 전쟁을 가르칠 때 가장 기본적인 학습과제는 전쟁의 폭력성을 알게 하는 것이다. 전쟁

                의 직접적 폭력성뿐 아니라 구조적 폭력성, 문화적 폭력성까지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김한종,




                                                  평화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유엔군초전기념관의 발전방향  143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