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4 - 오산학 연구 6집
P. 144
먼저, 소극적 평화의 개념으로 평화를 정의할 때, 평화운동은 전쟁을 반대하는 운동이다. 즉,
전쟁이 일어나지 않도록 막거나 전쟁이 일어났을 때 전쟁을 조속히 종식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이는 앞에서 말한 평화조성과 관련이 있다. 일부 사람들은 방어를 위한 전쟁이나 독립
전쟁과 같은 ‘정의의 전쟁’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하기도 하고, 유엔 헌장에도 타국의 공격에 대
비하기 위한 개별적, 집단적 자위권을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경우 평화를 이야기하면서도
전쟁을 인정하게 되는 모순을 피할 수 없다(서보혁·정욱식, 2016:66; 정지수, 2019:33에서 재
인용).
다음으로 적극적 평화의 개념으로 평화를 정의할 때, 평화운동은 반전(反戰)보다 더 크고 넓
은 의미를 갖는다. 모든 형태의 공포, 모든 형태의 결핍, 모든 형태의 차별, 모든 형태의 공해로
부터 해방을 평화로 보기 때문에, 평화운동은 전쟁을 야기하는 군사주의체제, 굶주림을 유발하
는 체제, 사막을 만드는 생태 위기, 가부장적 지배체제 등을 해체하고 대안적 방법을 실천하는
운동으로 인식된다(서보혁·정욱식, 2016:66). 즉, 평화의 개념이 확장되었기 때문에 성차별 문
제, 노동 문제, 가정폭력 문제, 인종차별 문제 등을 평화운동에 포함시켜 살펴볼 수 있다. 이는
앞에서 말한 평화유지, 평화구축과 관련이 있다(이재철, 2007:117-118; 정지수, 2019:33에서
재인용).
2. 전쟁사에서의 평화교육
평화에 대한 이해와 감수성이 높아지면서 자연스럽게 평화교육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
다. 평화교육의 종류는 인성교육, 인권교육, 평화감수성교육, 회복적생활교육, 갈등해결교육,
갈등조정 또는 또래조정교육, 인성교육, 인권교육, 성평등교육, 평화통일교육, 탈분단 교육, 다
문화교육, 국제이해교육, 종교교육, 생태교육, 환경교육, 지속가능한 발전교육, 세계시민교육,
민주시민교육 등 무궁무진하다. 즉 평화는 모든 교육이 지향해야 할 공동의 가치로, 평화교육은
일상생활을 포함한 영역이다.
142 심수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