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6 - 오산문화총서 7집
P. 86
6. 광교산의 자연 지형, 학익진
광교산은 경기 남부의 명산이다. 경기도 성남시와 수원시, 용인시와 의왕시를 경계하는 한남
정맥의 중간에 위치하여 한수(한강)와 팔하(안성천)의 물길을 가른다. 광교산 동북쪽에 떨어지
는 빗방울은 경안천, 탄천을 거쳐 한강에 합수하고, 광교산 서남쪽에 떨어지는 빗방울은 황구
지천, 안성천을 거쳐 아산만으로 흘러나간다. 광교산은 백두대간 한남지맥의 산자분수령(山自
分水嶺)이다.
광교산은 크게 네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진다. 시루봉, 형제봉, 종루봉(비로봉), 수리봉이다.
산에는 앞뒤의 얼굴이 있는데 광교산의 얼굴은 동쪽이다. 그 얼굴이 용인시 수지구를 향한다.
형제봉, 종루봉, 수리봉이 아침 해가 뜨는 동쪽을 바라보고 앉았다.
종루봉(비로봉)을 주산으로 보면 좌청룡은 수리봉이고, 우백호는 형제봉이다. 광교산은 스스
로 학익진(鶴翼陣)을 구축한 산이다.
도-11 광교산 형제봉, 종루봉, 수리봉
고려시대 광교산(光敎山)의 이름은 광악산(光嶽山)이었다.
928년, 고려 태조 왕건이 남쪽을 정벌할 때 수원의 토호 김칠(金七), 최승규(崔承珪) 등 200
명이 귀순하여 공을 세웠다. 김칠은 신라 왕족으로 수원 김씨의 시조 김품언(金稟言)의 선대로
파악된다. 최승규는 수성(수원) 최씨의 시조 최영규(崔永奎)의 선대로 파악된다. SK그룹을 건설
84 임종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