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2 - 오산문화총서 7집
P. 52

독산성 북문지                              나주읍성 북문지(2017)

















                          거제 사등성 동문지(2018)                        홍성 결성읍성 동문지(2021)
               사진 26. 조선시대 문지 참고자료




                평면형태가 삼각형을 이루는 할석을 이용하여 측벽을 조성하였으며, 바닥면은 박석하였다.
               문지의 형태는 개거식으로 추정된다. 너비는 양 측벽을 기준으로 약 4m이다. 그 상면을 황갈색

               과 적갈색점토를 섞여 복토한 후, 그 위에 북문지[상층]은 하층의 것보다 문지의 규모가 작아졌
               으나, 1~2m 너비의 하층보다 대형의 할석을 이용하여 축조하였다. 문지의 형태는 개거식으로
               추정된다. 바닥은 하층의 문지를 복토한 점토를 이용하여 바닥면을 조성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하층의 문지를 복토하고, 중앙부에 상층 문지의 동쪽 측벽을 조성하였던 것으로 볼 때, 두 문지
               의 시기차 및 변화가 이루어진 것은 확실하다. 하층 문지는 전면적인 노출이 이루어지지 못했

               고, 연관되는 성벽이 확인되지 않아 정확한 비교가 어려우나 상층 문지의 기저부로 이용되었던
               것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하층 문지는 대형의 할석을 이용했던 점을 비루어 볼 때, 조선시대
               중~후기 평지 읍성에서 확인되는 문지의 축조양상의 영향을 받아 축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

               단된다.





               50  서승완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