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5 - 오산문화총서 7집
P. 55
표 2. 조선시대 독산성 수축 및 현황관련 주요 문헌기사 정리표
시대 내용 문헌출처
1592(선조25) 권율이 독성으로 군사를 진출하여 왜군을 막음. 조선왕조실록
1593(선조26) 독성산성, 석축. 둘레 1,800보. 선조26년 계사년에 쌓음. 만기요람 군정편
1594(선조27) 경기 관찰사 유근이 독산성을 수축 조선왕조실록
1597(선조30) 방어사 변양걸이 독성 위에 흙을 쌓아 위를 평평하게.. 조선왕조실록
1602(선조35) 변응성이 독산성을 수축하고 관청건물을 세움 화성지, 월사집
1610(광해군2) (중략).. 수원의 독성만이 꾸준히 수리되어 왔다..(후략) 조선왕조실록
1690(숙종16) 독성에 봉수를 더 설치하도록 함 비변사등록
1760(영조36) 신해년에 성첩과 성문을 중수하였다. 수원군읍지
1776 이전 수원 독성산성은 옛 감영의 동쪽 7리 되는 곳에 있는데, 석축이다. 연려실기술
1787(정조11) (운주당)정조 정미년에 개건하였다. 화성지
(운주당)경술년에 중수하였다. (삼문)운주당의 앞쪽에 있다.
1790(정조14) 화성지
경술년에 개건하였다. 편액은 독성아문이라 하였다.
1792(정조16) 독성산성을 수축하여 토신에게 고유하였다. 조선왕조실록
1792년 7월25~9월13일. 성의 둘레가 1004보, 신축 732보, 수축한
것이 272보, 수문 3곳은 모두 개축. 사태가 난 12곳은 길이 101보, 너비
10보로 돌을 채워 신축하였으며, 여장 309첩 모두를 신축하고 벽돌을
덮어 회를 발랐다. 남장대 6칸은 3척을 안쪽으로 옮겨 이건하면서
1792(정조16) 일성록
단청을 다시 하였다. 4곳은 문 가운데 남문은 8칸 문루를 갖추어
들보위에 회를 발랐고, 문의 확쇠 1개를 새로 갖췄다. 서문 역시 8칸
문루의 기와를 수보하였다. 북문과 동문의 좌우 석축을 고치고 문짝
2개씩을 다시 갖췄으며, 서문은 학쇠 1개를 새로 마련하였다.
1805(순조5) 건릉 능역으로 인해 서북쪽에 잡인의 출입을 제한, 암문 축조 일성록
1805(순조5) 관청(4칸 반), 군기고 개건(28칸 반) 화성지
중군 이문철이 3개월치 삭료를 출연하여 무너진 문루와 공해를
1807(순조7) 일성록
수리함
간간이 빈곳을 수축하니 성의 밑뿌리가 반은 무너졌다. 여장은 흔적이
없고 남문에 이르러 서는 거의 거꾸로 넘어졌다. 성은 작지만 비용이
1831(순조31) 많이 들었다. 8월에 시작해서 10월에 끝마쳤다. 공역을 감독한 자는 화성지
총리중군 김상순이다. 김상순이 그 사실을 널빤지에 쓰기를 청하기에
나는 따랐다. 신묘년 10월 유수 박기수(朴綺壽)는 기한다.
독성산성은 신묘년에 수축한 이후로 성첩과 해사가 다 무너졌습니다.
1860(철종11) 비변사등록
내년 봄이 되거든 역사를 시작하게 해야 하겠습니다.
오산 독산성 북문지 일원 조사성과와 변화양상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