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8 - 오산문화총서 7집
P. 48

였고, 이후 기단보축과 체성벽을 부분피복하고 수축벽을 쌓아올렸다. 체성벽 상부에도 2~3단

               석축이 들여쌓기하여 남아있는 부분적인 양상으로 볼 때, 체성벽에서 2~3회 이상의 수축양상
                                                                                          6)
               이 존재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유사한 외벽의 축조양상이 확인되는 성곽은 서울 호암산성 , 서
                                                                   10)
                         7)
                                                     9)
                                       8)
               울 양천고성 , 양주 대모산성 , 인천 계양산성 , 파주 덕진산성  등에서 유사한 축조양식이 확
               인되고 있다. 성벽은 부분적으로만 확인되었으나, 旣조사[3~4차]에서 확인되었던 삼국~통일
               신라시대 성벽과 동일선상에서


















                                           오산 독산성 대지조성층·보강토층


















                                           파주 덕진산성 내·외성연접부(2018)









               6) 서울大學校博物館, 1990, 『한우물』
               7) (재)한얼문화유산연구원, 2016, 『서울 양천고성 종합보고서』
               8) 翰林大學校博物館, 2002, 『양주 대모산성-동문지·서문지-』
               9) (재)겨레문화유산연구원, 2017, 『계양산성Ⅳ』
               10) (財)中部考古學硏究所, 2018, 『坡州 德津山城Ⅱ』



               46  서승완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