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9 - 오산문화총서 7집
P. 49

평택 자미산성 2구간 피트2 조사 완료 후 동벽 기저부층(2010)
                사진 24. 대지조성층 비교자료


                 축조가 이루어진 양상으로 볼 수 있다. 축조한 양상은 3·4차 발굴조사지역 및 Tr.1의 양상과

                매우 유사한 양상이다. 또한 전면에 덧붙여진 수축된 수축성벽 양상은 Tr.1에서도 유사하게 확
                인되고 있다. 이러한 특징들로 미루어 볼 때, 삼국시대~통일신라시대에 걸쳐 성벽을 처음 축조
                한 이후, 여러 차례에 걸쳐 수축이 이루어진 양상이 확인된다. 한편, 현재 확인된 성벽의 전체적

                인 규모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발굴범위와 트렌치별로 체성벽의 축조기법이 상이하게 확인되고
                있는 것으로 볼 때, 북문지 일대의 성벽이 구간별로 여러 차례 부분적으로 수축이 시기를 달리
                하며 이루어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오산 독산성 북문지 일원 조사성과와 변화양상  47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