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00 - 오산문화총서 7집
P. 300
평)를 1995년부터 2000년까지 개발해 총 8천395가구를 건설하고 2만8천543명의 인구를 수용
하는 주거단지로 개발하는 사업이다.
대한주택공사(현재 LH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시행한 오산운암지구개발은 도시계획법에 의거
해 기본계획과 상세계획을 수립해 추진한 개발사업이다. 대한주택공사는 오산운암지구개발 기
본계획을 수립하면서 당시 오산시의 도시 현황을 도시구조, 자연환경, 인문환경 등으로 나눠 상
세하게 분석했다.
1) 도시성격 및 개발의 문제점
대한주택공사는 당시 오산시 도시 성격을 수도권 남부 일대의 교통 및 교역의 중심지, 수도권
위성주거도시, 경공업을 주축으로 한 산업도시, 서해안개발(화성군)의 배후도시, 인근지역의 중
추 기능을 담당하는 농촌지원도시로 규정하였다.
도시개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으로 첫째, 토지이용 분야로 경부선 철도를 경계로 동서생활권
연계 미흡, 기존 시가지의 토지이용 혼재, 주택부족 심화를 꼽았다. 이 문제 개선방안으로 도시
발전을 동서축으로 설정하여 도시의 균형발전 도모, 중심상업지역의 전문성 부여, 신규 택지조
성사업으로 대량 공급추진 등을 제시했다.
둘째, 교통 분야로 광역교통망 체계와 연계의 비합리성, 교통망 체계의 미확립 및 단계별 사
업 미집행, 철도 및 오산천의 시 중심 관통을 동서 간 연계체계 미비, 지역 간 통과교통량 과다
(국도 1호선)를 꼽았으며, 개선방안으로 광역교통망 수립 및 지역 간 교통망 확충, 교통체계 확
립 및 우선순위에 의한 사업 시행, 고가 및 지하차도, 교량 건설 등 입체교차로 확충, 국도 1호
선의 우회 계획 반영 등을 제시했다.
셋째, 생활환경 분야는 주택 및 생활 편의시설 부족, 공원시설 미비로 도심 휴식 공간 빈약,
사회·문화·복지시설 부족 및 도심부 편재를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개선방안으로 택지개발 및
공공용지 확보, 생활권별 공원 배치계획 수립, 사회·문화·복지시설의 확충 및 생활권별 분산
계획 수립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했다.
넷째, 산업개발 분야의 문제점으로는 공업지역 내 공업용수 부족과 생산기반시설의 부족으로
재정자립기반 미약을 지적하고, 수도권 광역상수도 5단계 사업과 연계한 용수해결방안 강구 및
지하수 개발, 생산기반시설 확충 및 공업기능 활성화 방안 강구 등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했다.
298 강경구·남경식·한민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