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4 - 오산문화총서 7집
P. 184

Ⅲ. 서애 유성룡과 방어사 변후(변응성)





                이정귀의 「진남루기」에 임진왜란 때 선조와 서애 유성룡을 비롯한 조정의 대신들이 독산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관리했는지 잘 알려주고 있다.



                   이듬해(1593년) 적이 퇴각하여 [남해안에] 진지를 구축하자, 조정에서는 이곳의 산성을 보수하여 적을
                   막을 계책을 서둘러 강구하였다. 주상께서 먼저 독성(禿城)에 관해 물으셨고 도체찰사 서애 유성룡과
                                                5)
                   경기관찰사 서경(西坰) 유근(1549~1627) 이 실로 이 계책에 찬성하였다. 그리하여 마침내 방어사 변후
                   (변응성,1552~1616)에게 명하여 이 성을 순시하게 하는 한편, 면포 수백 필을 하사하여 편의를 보아 주
                   었다. 변후가 사수(射手)로 쓸 군사를 모집하고 장정 5백 명을 뽑아 왕명으로 상을 내리고 주둔하는 군
                   사로 삼는 한편, 그 사실을 임금께 아뢰면서 이 성은 지켜야 할 곳이라고 힘써 말하였다. 이에 주상께서
                                         6)
                   수긍하시고 드디어 유사(有司) 에게 명하여 일을 착수토록 하셨으니, 비록 크게 일을 벌이지는 않았으
                   나 이 성은 이때 처음 만들어졌던 것이다.



                                                                 7)
                도체찰사 서애 유성룡(1542~1607)이 독산성을 주목했다.  독산성은 경기남부에서 방어시설
               을 제대로 갖춘 유일한 산성이었다. 하지만 이후 관리가 잘 이루어지지 못했다. 1594년 가을,

               경기도 일부 백성들이 무장을 하고 관아를 공격하고 고을을 약탈하고 장수를 죽이는 반란이 일
               어났을 때 반란군이 독산성에 웅거하고 있다는 소문이 나돌아 선조가 불안에 떨었다는 기사가
                                    8)
               이러한 사정을 알려준다.  이 사건으로 조정에서 독산성을 관리하자는 논의가 진행되었다. 이
               때 직접 독산성을 방문한 유성룡은 성을 튼튼하게 보수하고 무기를 갖추면 수원부민들이 들어







               5) 유근(柳根, 1549~1627) 호는 서경(西坰). 1572년(선조 5) 별시 문과에 장원하고 사가독서를 하였다. 1587년 이조정랑으로서
                문신 정시에 다시 장원하였다. 이 해 일본의 중 겐소가 사신으로 오자 선위사에 특임되어 사신을 대접하였다. 1591년 좌승지
                세자를 세우는 문제로 정철이 화를 당할 때 일파로 몰려 탄핵을 받았으나, 문재(文才)를 아끼는 선조의 두둔으로 화를 면한다.
                임진왜란 때 의주까지 임금을 호종했으며, 예조참판에 특진되었다. 1593년 도승지로 경성안무사(京城安撫使)가 되어 도성의
                민심을 수습하고, 한성부판윤에 올라 사은부사로 명나라에 다녀와 경기도관찰사가 되었다. 명나라에 두 차례 다녀왔고, 호성
                공신 2등에 녹훈되고 진원부원군(晉原府院君)에 봉해졌다. 충청도관찰사, 예조판서, 대제학, 좌찬성을 지냈다. 정묘호란 때 강
                화에 왕을 호종하다가 죽었다. 문집 『서경집』을 남겼다.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6) 유사(有司)는 경기도관찰사 유근을 말한다.
               7) 『선조실록』 선조26년(1593 계사) 10월 22일(임인)
               8) 『선조실록』 선조27년(1594 갑오) 9월 27일(임인)



               182  김영호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