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7 - 오산문화총서 7집
P. 147

활용 콘텐츠로 개발하고자 「세계유산 활용 콘텐츠 구축 사업」으로 문화체험의 확장에 기여하기

                도 했다. 수원화성의 사례에서는 정조의 4가지 사상 문(文)·무(武)·예(禮)·법(法)사상을 미디
                어파사드 작품에 담은 빛의 축제가 펼쳐지기도 했다.               37)
                 오산시화성궐리사에도 이러한 시대적 변화와 사회적 요구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문화기술을

                적용한 프로그램이 만들어져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사업은 기획력과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경
                제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2022년 공모사업에서 지자체의 예산문제로 실감콘텐츠 사업 분야

                신청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향후 문화재활용의 경제활성화와 프로그램의 다양성을 위해서 준
                비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문화유산의 사회적 경제적 분야에 미치는 영향은 고용창출과 지역
                재생, 기술 발전, 시민들의 문화적 참여 등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관광과 레저분야에서

                지역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38)


                <표7> 문화재와 직·간접적 관련이 있는 문화산업
                   문화재와 직접적 관련이 있는 문화산업                    문화재와 간접적 관련이 있는 문화산업


                                                   - 영화ㆍ비디오물과 관련된 산업
                                                   - 음악ㆍ게임과 관련된 산업
                                                   - 출판ㆍ인쇄ㆍ정기간행물과 관련된 산업
                                                   - 방송영상물과 관련된 산업
                                                   - 만화ㆍ캐릭터ㆍ애니메이션ㆍ에듀테인먼트ㆍ모바일
                 - 문화재와 관련된 산업                       문화콘텐츠ㆍ디자인(산업디자인은 제외한다)ㆍ
                 - 전통적인 소재와 기법을 활용하여                 광고ㆍ공연ㆍ미술품ㆍ공예품과 관련된 산업
                   상품의 생산과 유통이 이루어지는               - 디지털문화콘텐츠, 사용자제작문화콘텐츠 및
                   산업으로서 의상, 조형물, 장식용품,              멀티미디어문화콘텐츠의 수집ㆍ가공ㆍ개발ㆍ제작ㆍ
                   소품 및 생활용품 등과 관련된 산업               생산ㆍ저장ㆍ검색ㆍ유통 등과 이에 관련된
                                                     서비스를 하는 산업
                                                   - 대중문화예술산업
                                                   - 문화상품을 대상으로 하는 전시회ㆍ박람회ㆍ
                                                     견본시장 및 축제 등과 관련된 산업
                                                   - 상기 언급된 문화산업 중 둘 이상이 혼합된 산업

                                              출처 : 문화재청, 2020, 문화재형 사회적기업 창업 활성화 모델개발 연구, 255쪽









                37) 수원문화재단 홈페이지
                38) 장호수, 2015, 문화창의산업에서 문화유산의 가치와 활성화 방안, 문화재48(2), 82-95쪽


                                                              오산시화성궐리사 활용사업 방향성 연구  145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