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2 - 오산문화총서 7집
P. 152

참고문헌





               日省錄
               正祖實錄


               강진갑, 2007, 한국문화유산의 디지털콘텐츠화연구 : 경기도 역사문화체험 가상현실 시스템을 중심으로, 박사학
                     위논문
               김성조·김재학, 2019, 문화유산에 대한 보존 및 활용인식, 장소애착심, 태도간의 구조적 관계, 관광학연구 43(5)

               김세훈, 2015,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가치 측정 연구 경향 분석, 문화산업연구 제15(3)
               김준혁, 2014, 조선 왕실기록을 기반으로 하는 수원화성의 문화콘텐츠 활성화, 인문콘텐츠 제34호
               김희재, 2021, 향교의 역사문화적공간 특성에 기반한 문화유산 활용 방안-향교 서원 문화재 활용사업을 중심으
                     로-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글로벌문화콘텐츠학전공 석사학위논문
               류호철, 2017, 문화재 활용정책에 관한 거시적 평가와 새로운 활용정책 방향 모색, 동아시아고대학 47
               박신의, 2016, 문화유산 활용과 가치 제고 전략, 문화예술경영학연구 9(2)
               박인권, 2012, 지역재생을 위한 지역공동체 주도 지역발전전략의 규범적 모형 : SAGE 전략,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4(4)
               신영주, 2017, 화성궐리사의 활용 방안 연구, 공주대학교 문화유산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영주, 2020, “오산시궐리사”와 “궐리사성적도” 문화재 명칭에 관한 제언, 烏山學硏究(Ⅵ)
               신영주, 2020, 협력적 거버넌스를 통한 문화유산 활용 분야의 활성화 방안, 세계유산연구 6(2)
               유영심, 2014, 문화의 관광상품화의 이론적 논의와 시사, 관광레저연구 제26(8)
               유영심·박봉원, 2019, 강원도 향교·서원의 현대적 활용방안, 한국교육시설학회지 26(2)
               이슬기·금현섭, 2016, 문화재향유 만족도와 가치인식, 예술경영연구 제37집
               이창근·윤미라, 2018,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문화유산 활용 미디어파사드 분석 연구, 대한무용학회논문집 제
                     76(2)

               이희봉, 2010, 관광 복원인가 마구잡이 복원인가? : 경주 월정교를 통해 본 문화유적 복원의 문제, 한국건축역사
                     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장호수, 2015, 문화창의산업에서 문화유산의 가치와 활성화 방안, 문화재48(2)
               정상우외, 2013, 문화재 활용 종합계획 수립 및 제도 정비 방안 마련 연구, 문화재청
               조아라 김숙진, 2016, 세계유산 보존관리와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역공동체 참여: 화성과 남한산성의
                     비교,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9(2)
               한숙영, 2015, 세계유산의 보존관리와 관광의 관계 : McKercher du Cros의 이론을 중심으로, 문화정책논총, 29(1)

               황태희·최희수, 2014, 향교·서원의 현대적 해석을 통한 활용 방안-유교문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글로벌문화




               150  신영주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