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8 - 오산문화총서 7집
P. 148

3. 지역공동체 참여의 촉진



                『버라헌장(The Burra Charter)』(1979)에 따르면 문화유산의 중요성은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
               래의 세대에게 미적·역사적·과학적 혹은 사회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 규정했다. 제12조에는

               장소의 보전, 해석 및 관리는 장소가 중요한 연관성 및 의미를 지니고 있거나 그 장소에 사회적
               영적 또는 기타 문화적 책임이 있는 사람들의 참여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유산은

               단순히 보호 대상으로서 가치가 있는 것이 아니라 유산과 관계된 사람들의 삶 속에서 유지되고
               활용되어야 지속가능하다. 최근에는 문화유산이 갖는 가치와 의미 중심에서 문화유산과 더불어
               살아가고 있는 사람 중심으로 환경이 변화하면서 공동체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공동체는 특정 공간에서 공통의 가치와 정체성을 바탕으로 문화를 창조하고 향유해 온 사람
                           39)
               들의 집단이다.  전통사회에서 공동체는 집성촌을 이루는 마을에서 친척과 이웃들 간으로 자
               연스럽게 형성되었다면 최근의 아파트 중심 사회에서는 전통적인 공동체를 형성하기 어렵다.

               오히려 공통의 관심사와 가치관에 따라 온라인 커뮤니티가 활발하고 그 속에서 오프라인 커뮤
               니티로 연결되어 연결망을 지속하는 특성을 보이므로 지역성을 고집하기보다는 공통 관심사의
               방향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해 갈 필요성이 있다.

                지역공동체가 원활하게 유지되기 위한 조건 중 하나로 현재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이
               의식주에 어려움이 없을 정도의 경제적 기반을 갖추고, 기본적인 교육과 문화예술의 기회를 보

               장받을 수 있는 문화적 환경이 갖추어져야 주민들의 참여와 협동적 활동 등의 공동체 참여가 원
                                    40)
               만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지역공동체는 문화재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인식으로 지역 인력이 발굴되고 육성되어져야 하며 이를 위한 다양한 지원이 있어야 한다.

                유교 문화의 본질적 요소를 반영한 전통문화 프로그램과 현대적 활용 프로그램을 구분하여
               참여자의 요구에 맞는 교육을 지향하는 오산시화성궐리사는 ‘행단에 열린꿈 궐동학교’를 운영하

               며 사업 첫해부터 지역민들을 궐동학교 활동가로 육성하여 활용하고 있다. 지역공동체 형성을
               위하여 지역주민 가운데 문화유산에 관심이 많거나 교육활동의 유경험자를 대상으로 활용사업
               에 대한 이해와 문화유산의 가치를 공유하는 등의 교육과정을 거친 결과 해마다 궐동학교 활동

               가들이 배출되고 있다. 유교문화를 대중화하고 생활문화가 되기 위해서 내용을 쉽게 전달할 수





               39) 신영주, 2020, 협력적 거버넌스를 통한 문화유산 활용 분야의 활성화 방안, 세계유산연구 6(2), 13-25
               40)  박인권, 2012, 지역재생을 위한 지역공동체 주도 지역발전전략의 규범적 모형 :SAGE 전략,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4(4),
                 1-26쪽



               146  신영주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