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6 - 오산문화총서 7집
P. 146
2. 문화기술(Culture Technology)을 적용한 문화산업화
문화유산 활용에서 디지털과 AI로 대변되는 정보화 및 인공지능시대에 넓은 의미의 문화자원
33)
으로 범주화가 이루어지고 프레임이 확장되고 있다. 2000년을 전후하여 역사와 문화유산 관
련 디지털콘텐츠가 영상, 웹사이트 형태로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강진갑의 연구에 의하면 디지
털콘텐츠의 시작 단계에서는 역사와 문화유산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한 것, 둘째는 역사연구
결과물을 디지털 콘텐츠화한 것, 셋째 문화유산 및 역사연구 성과를 재가공하여 디지털 콘텐츠
34)
화한 것으로 진행되었다. 자료의 구축이나 가공 과정에서 해당 유물이나 자료에 대한 원자료
확보에 치중해왔던 것이 이제 4차산업 혁명시대에 들어와서 우리의 문화기술은 유·무형 문화
유산을 대상으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실물 복원, 문화유산의 재현, 문화유산 상품 개발 등
으로 새로운 시장을 만들어 가는 추세이다. 이러한 문화상품의 기획·개발·제작·생산·유
통·소비 등과 이에 관련된 서비스를 하는 문화산업이 발달하는 기반 형성이 이루어지고 있으
35)
며, 문화재와 직접적 관련이 있는 문화산업과 간접적 관련이 있는 문화산업의 분류는 <표7>
과 같다.
문화재와 간접적 관련이 있는 문화산업 가운데 대중들에게 인기있는 미디어파사드(Media
36)
facade)는 2013년 광복절을 계기로 문화재청과 한국문화재재단이 광화문을 스크린으로 미
디어파사드를 선보이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경복궁 흥례문, 덕수궁 석조전으로 장소를 옮기고,
2016년에는 규모와 횟수를 확대하여 궁궐의 대표적인 야간 특화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하였
다. 문화재청과 한국콘텐츠진흥원이 ICT 사업의 하나로 영제교를 활용한 미디어아트 전시, 경
회루를 스크린으로 이용한 미디어파사드가 단발성 사업으로 진행되기도 하였다. 점차 문화유산
을 활용한 대표적인 사례로 많은 지자체에서 이를 벤치마킹하여 지역 문화유산을 활용한 미디
어파사드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고 특히 문화재야행 프로그램에서 자주 사용하는 소재로 등장하
였다. 2021년 오산문화재야행에서도 <죽미령, 평화와 희망의 빛을 보다> 라는 주제의 미디어파
사드가 상영, 활용되었다. 2021년에는 미디어 디지털 IT 기술을 세계유산에 접목하여 문화유산
과 영상콘텐츠의 융합을 만들어냈고 세계유산의 보편적 가치를 보다 쉽게 알릴 수 있는 새로운
33) 박신의, 2016, 문화유산 활용과 가치 제고 전략, 문화예술경영학연구 9(2), 5쪽
34) 강진갑, 2007, 한국문화유산의 디지털콘텐츠화연구: 경기도 역사문화체험 가상현실 시스템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17쪽
35) 문화산업진흥기본법 제2조에 명시된 문화산업과 문화상품의 정의[전문개정 2009. 2. 6.
36) 건축물 외면의 가장 중심을 가리키는 '파사드(Facade)'와 '미디어(Media)'의 합성어로, 건물 외벽 등에 LED 조명을 설치해 미
디어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말한다.(위키백과)
144 신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