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9 - 오산문화총서 7집
P. 149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요구하고 있으며 참여자의 연령에 맞는 교육프로그램으로 개발하고 전달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와같이 향교·서원의 활용사업에서 일반 시민들에게 효율적으로 전달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력은 공동체 형성과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기 때문에 사업을 주
                관하는 단체에 따라 문화유산기획가, 문화유산활동가, 문화유산 서포터즈 등의 명칭으로 인력

                양성에 힘쓰고 있다. 그리고 서포터즈 양성을 돕기 위해 문화유산활용 전문가들이 지속적으로
                조사와 연구를 하고, 활용사업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 지역공동체의 참여를 촉진하고 있다.

                 그동안 지역의 문화유산을 중심으로 해설 활동을 하는 문화관광해설사 제도가 정착되어진 것
                처럼 지역사회에 기반한 추진 주체로 구성된 인력이 지역문화유산 기획자, 활동가, 서포터즈 형
                태의 공동체로 형성이 되었다면 일회성과 한시성을 극복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져서 향후

                직업화하는 정책이 만들어져야 한다. 그 외에도 지역주민들이 중심이 되는 주민협의체를 구성
                하여 NPO나 문화재형 사회적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분위기가 있어야 하고 이를 위해 지역주
                민들 간의 공감대 형성을 위한 홍보·마케팅 활동이 필요하다. 장기적 관점에서 문화유산을 지

                역의 명소로 만드는데는 장소적 기반과 그 유산의 장소성을 이해하고, 방문객의 특성을 고려하
                                                                           41)
                여 문화재 방문에 대한 기대를 예측하며, 문화재 향유의 질적인 측면을  높여나가기 위한 전문
                인력들이 양성되고 유지되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활용사업의 참여로 오산시화성궐리사는 다양한 계층을 위한 감성적 체험과 지식 습득의 교육
                장소로 거듭나고 있으며, 지역민들의 문화 욕구를 충족시키고 인문정신을 공유하는 공간이 되
                             42)
                도록 하고 있다.  문화유산을 통해 지역정체성을 알게 하고 지역 문화를 알리는 오산시화성궐
                리사 활용 프로그램의 참여 인력은 <표8>과 같다.



                <표8> 행단에  열린꿈 궐동학교 활동가 참여 현황
                    연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활동가인원          37         20         25          20         15          15















                41) 이슬기·금현섭, 2016, 문화재향유 만족도와 가치인식, 예술경영연구 제37집, 65-93쪽
                42) 신영주, 2017,  화성궐리사의 활용 방안 연구, 공주대학교 문화유산대학원 석사논문, 1-91쪽


                                                              오산시화성궐리사 활용사업 방향성 연구  147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