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4 - 오산문화총서 7집
P. 134
우 필요하다.
문화재 보호와 활용사업에서 거버넌스는 공공부분과 다양한 이해당사자의 상호작용의 과정
이므로 구성원 간 네트워크가 무척 중요하게 된다. 우선 사업을 주도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의지가 있어야 하고, 사업실행을 맡아서 주관하는 단체는 지역주민의 참여를 담보하
며 사업 분야별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이고 심화된 교육프로그램으로 주민들의 역
량 강화와 연계하여 진행할 필요가 있다. 주민참여 사업이 확대되고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사업
에 참여하고 주도할 수 있는 지역민의 참여가 필수적이며 의사결정 분야에서 일방적 전달이 아
니라 쌍방향 소통이 기본적으로 이루어져 이해당사자 간의 긴밀한 협조가 요구된다. 문화유산
을 중심으로 이해당사자 간 정보의 공유, 기획팀에 고문단의 설립, 초기부터 의사결정과정에 참
16)
여하고 계획 이행과정을 수행할 공동협의체 구성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문화재청의 활용사
업은 당해 연도에 공고를 하여 사업계획서를 접수하고 심사를 거쳐 선정결과가 발표되는 과정
은 <표2>와 같다.
<표2> 2022년도 지역문화재 활용사업 지자체 대상 공모계획
■ 공문 시행
계획 공고 ‘21.6.28.(월)~7.30.(금)
■ 문화재청 홈페이지 새소식 공지
사업계획서 ■ 지자체 신청(광역 지자체 수합 제출)
‘21.7.19.(월)~7.30.(금)
신청/접수 ■ 문화재청 공문 접수
■ 심사위원회 구성 운영
■ 1차 서류 심사(필수)
심 사 ‘21.8월 예정
■ 2차 심사는 필요시 별도 시행
(실감콘텐츠는 2차 심사 실시)
■ ‘22년 사업 선정 결과 발표
최종 선정 결과 발표 및
‘21.9.15. 예정 - 문화재청 홈페이지 새소식 공지
보조금 사전통지
■ ‘22년 보조금 사전통지(문화재청→지자체)
16) 신영주, 2020, 협력적 거버넌스를 통한 문화유산 활용 분야의 활성화 방안, 세계유산연구 6(2), 13-26
132 신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