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9 - 오산문화총서 7집
P. 129
료를 참고하여 서술하였다.
Ⅱ. 문화재 활용정책의 경향
1. 문화재 활용 개념의 확장
문화재 활용이 ‘문화유산을 단순히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지닌 가치나 기능 또는 능
7)
력을 잘 살려 이용함으로써 문화유산의 가치를 현재화하고 대중화하는 행위’ 라는 정의는 과거
로부터 물려받은 문화재를 있는 그대로 이용하는 것만이 아니라 문화재의 가치를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새로운 콘텐츠와 결합함으로써 대중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을 말한다.
문화재가 문화자원으로 범주화되면서 문화재 활용의 대상을 ‘문화재 실물’이 아닌 ‘문화재 가
치’로 재인식하고 이에 따라 보다 적극적이고 다양화된 문화재 활용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것이
8)
다. 그동안 문화재의 활용이 주로 교육적 목적의 탐방과 문화관광, 연구자 중심의 학술적 접근
이 이루어졌다면 최근에는 유형·무형문화재 융합활용, 지역 문화시설과 연계활용, 정보화 및
인공지능시대에 맞는 디지털 활용으로 다양화되고 있다. GPS 기반으로 하는 앱 개발 콘텐츠로
9)
활용하거나 지금은 볼 수 없는 돈의문을 가상현실에서 볼 수 있는 '돈의문 AR'개발 등 문화재
를 디지털로 복원해 교육·관광·엔터테인먼트 자원으로 활용하는 특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
한 문화재 활용의 궁극적인 목표는 문화유산을 접하는 대상이 일반 대중이 되고 국민이 일상속
에서 접하는 문화 대상이 되도록 하여 문화유산 보호의 지속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음을 알게
해준다. 일반 시민들이 문화재를 자주 찾아가고 문화재를 활용한 행사에 참여하여 즐길 수 있는
문화재 향유기회가 확대되어 문화서비스의 만족도를 높이는 한편 문화유산에 대한 가치 인식과
관심이 높아져서 자발적인 보호활동의 참여까지 이어지는 순환구조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7) 정상우외, 2013, 문화재 활용 종합계획 수립 및 제도 정비 방안 마련 연구, 문화재청
8) 조아라 김숙진, 2016, 세계유산 보존관리와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역공동체 참여: 화성과 남한산성의 비교, 한국
도시지리학회지 19(2), 151-152쪽
9) 조선일보기사, 2019-8-21
오산시화성궐리사 활용사업 방향성 연구 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