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7 - 오산문화총서 7집
P. 127

Ⅰ. 서론





                 문화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인식되면서 문화가 갖는 가치의 다양성은 문화에 대한 재인식과

                                                      1)
                그것의 활용에 대한 관심으로 확대되고 있다.  문화경제학자인 아르조 클레이머(Arjo Klamer)
                는 문화의 가치를 문화적 가치, 경제적 가치, 사회적 가치로 구분하였는데 세 가지 가치들은 서

                로 고유한 성격을 갖고 있지만 상호 연관되어 있어 통합적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
                    2)
                이다.  특히 문화의 경제적 가치에 대한 인식은 ‘창조경제’, ‘창조산업’, ‘창조계급’, ‘창조도시’ 등
                의 개념을 통해(Howkins,J. 2002, Landry, 2008) 전 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정책으로 발현되고

                있다.
                 문화가 국가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시
                키는 자원이 되기도 하며, 사회적 통합이나 갈등 해소를 통하여 사회적 비용을 줄이는 중요한

                                                                   3)
                요소로 활용되기 시작하면서 최근 문화산업으로 확대되었다.  문화산업은 유네스코의 정의에
                따르면 ‘무형적이고 문화적인 콘텐츠를 창조, 생산, 상업화하여 인쇄, 출판, 멀티미디어, 시청각
                자료, 사진, 영화 등을 만드는 것과 함께 공예와 디자인을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 우리나

                라 문화산업의 성장은 미디어 분야에서 두드러진다. 네플릭스 플랫폼에서 전 세계 1억1천100만
                                                        4)
                가구가 시청한 ‘오징어 게임’(2021.10.13.기준)은  한국의 문화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는 기폭제
                역할을 하였다. 우리나라 전통놀이를 소재로 하여 드라마를 만든 감독은 ‘오징어 게임’이 많은
                관심을 받는 요인으로 팬데믹 이후로 빈부격차가 더 심해지고, 생활고에 몰리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가난한 나라들은 백신 공급조차 제대로 되지 않고 있는 환경이 등장인물들이 살고 있

                는 세계와 흡사하다고 생각해서 세계적 공감을 얻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5)
                 우리 문화의 가장 중요한 자원으로 여겨지는 문화재가 문화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창조, 변

                형, 확산, 융합의 근간이라는 관점에서 문화유산의 활용은 국가적 차원, 지역적 차원에서 추진







                1) 유영심, 2014, 문화의 관광상품화의 이론적 논의와 시사, 관광레저연구 제26(8), 39-53쪽
                2) Arjo Klamer, 2004,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Values of Cultural Goods, Cultural and Public Action, V. Rao and
                 M.Waton, Eds., Stanford University Press
                3) 김세훈, 2015,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가치 측정 연구 경향 분석, 문화산업연구 제15(3) 9-10쪽
                4) 연합뉴스기사, 2021-10-19
                5) JTBC뉴스, 2021-10-05 '오징어 게임' 황동혁 감독 인터뷰


                                                              오산시화성궐리사 활용사업 방향성 연구  125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