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6 - 오산문화총서 7집
P. 136

에 의해 각 군현에 향교가 창건되었다. 중종 25년(1530)에 간행된 『新增東國輿地勝覽』의 기록에

               는 전국에 329개소의 향교가 있었다고 전한다. 향교의 기능과 같은 서원은 조선시대의 사학 교
               육기관이자 선현을 제사하는 제향처(祭享處)로 후학을 교육하고 선비정신을 고양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각 향교와 서원은 제향인물이나 그의 학맥을 잇는 인사들의 문집, 자료, 사적들이 잘 보
                                                                  18)
               존되어 유학과 관련된 현대 도서관의 기능을 수행하기도 했다.  전국의 향교·서원의 현황은 <
               표3>과 같다.



               <표3> 전국의 향교서원 총괄표
                                       구분                                           구분
                                   향교      서원     비 고                          향교   서원   비 고
                  시·도별                                        시·도별
                   서 울 특 별 시         1      2                  충  청  북  도       18   25
                   부 산 광 역 시         2      1
                                                               충  청  남  도       36   36
                   대 구 광 역 시         3     29
                                                               전  라  북  도       26   99
                   인 천 광 역 시         4      0
                                                               전  라  남  도       28   56
                   광 주 광 역 시         1      5
                                                               경  상  북  도       40   167
                   대 전 광 역 시         2      2
                                                               경  상  남  도       27   104
                   울 산 광 역 시         2      8
                                                               제  주  도          3    0
                   경  기  도          25     34
                                                                    계          234   581
                   강  원  도          16      13
                                                          자료 : 한국의 종교현황, 문화체육관광부(2011) 필자 재구성





               2. 향교·서원 활용의 현대적 해석



                향교·서원의 자원을 활용하기 위하여 문화재청은 ‘향교·서원문화재 활용 운영모델 및 기본

               계획(2013년 12월)’을 발표했으며, 향교·서원의 활용 목적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향교·
               서원의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융·복합적으로 창출하는 교육·문화·체험·관광프로그램으로
               운영하여 향교·서원 문화재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인문정신을 계승하여 이를 현대적으로 재창






               18)  황태희·최희수, 2014, 향교·서원의 현대적 해석을 통한 활용 방안-유교문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92-193쪽



               134  신영주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