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5 - 오산문화총서 7집
P. 135

보조금 확정 통지               ‘21.12월 중       ■ ‘22년 보조금 확정통지(문화재청→지자체)

                         
                                                            ■ (지자체) 사업계획서 보완 및
                   보조금 교부신청 및
                                             ‘22.1~2월          보조금 교부신청
                         교부
                                                            ■ (문화재청) 사업지침 및 교부결정 통지


                                                            ■ (지자 체) 사업 추진
                                                            ■ (문화재청)
                       사업 추진
                                            ‘22.3~12월           - 상·하반기 워크숍 및 사업 컨설팅
                       (지자체)
                                                                - 현장 모니터링 실시
                                                                - 사업 홍보 등 지원
                         
                                                            ■ 사업성과 우수사업 포상
                    사업 평가 및 포상               ‘22.12월
                                                                (문화재청장 표창)
                                                                                  자료 : 문화재청(2021)





                Ⅲ. 지역문화재 향교서원 활용 사례





                1. 향교·서원의 기능



                 향교와 서원은 조선시대의 유교 문화유산으로 당시의 시대상과 더불어 선비들의 문화적 소양
                                                          17)
                을 체감할 수 있는 중요한 자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학맥의 거점으로서 향촌사회 주도권을 장
                악했고 지역의 인재를 양성했던 향교와 서원은 설립 주체만 다를 뿐 유학을 가르치고 선현들을
                기리며 제향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으나 오늘날에는 교육기관의 성격보다 선현에 대한 제향
                의례만 수행하고 있는 현실이다.

                 향교는 고려 중기 공자와 그 제자들을 봉사하고 또 지방 양반 자제들의 교육을 주로 담당하였
                던 곳으로 조선이 건국되면서 본격적인 발전이 이루어졌고, 태종 시기에 1읍 1교(1邑1校) 원칙




                17) 유영심·박봉원, 2019, 강원도 향교·서원의 현대적 활용방안, 한국교육시설학회지 26(2), 21-24쪽


                                                              오산시화성궐리사 활용사업 방향성 연구  133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