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3 - 오산학 연구 4집
P. 63
남한산성(2002) 군포 건물지 남한산성(2007) 군포 건물지
남산 봉수대지(2009) 군포건물지 여주 파사성(2014) 2호 건물지
북한산성(2015) 3호 건물지 북한산성(2015) 4호 건물지
도면 5. 각 유적별 군포·성랑지 유구 도면(축척부동)
성곽 조사의 경우 대부분 성벽 절개나 성벽이 무너진 곳에 대한 조사가 주로 이루어지기 때문
에 내부에 있는 건물지나 주거지의 양상을 제대로 알 수 있는 사례가 적다. 그나마 성랑이나 군
포는 성벽에 인접해있기 때문에 연관되어 일부 조사되었다. 그리고 성곽 내 사찰이나 관청 시설
물과 규모나 시설면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유구들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
오산 독산성 축대와 건물지의 성격과 양상 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