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7 - 오산학 연구 4집
P. 37

【그림 18】 하남 이성산성 남벽 2차 저수지 출토 뚜껑(좌·중) 및 C지구 저수지 출토 뚜껑(우)(1/3, 漢陽大學校博物館, 1992·1999)


                3) 대부완

                                                【그림 10-④번, 그림 19】 유물은 대부완이며, 경기지역
                                                에서 7세기 대부터 등장하는 전형적인 신라 유물이다.
                                                대각의 길이에 비해 완의 기고가 높고 전체적으로 넓은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뚜껑과 같이 세트를 이루면
                                                합(盒)으로 지칭하나 고분 부장품이 아닐 경우 대부분 뚜
                                                껑과 따로 출토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대

                                                부완이라 한다. 【그림 10-⑤번, 그림 21】번 유물은 대각
                       【그림 19】 독산성 대부완
                이다. 지름이 약 7~9cm정도로 추정되며 작은 편에 속한다. 두께가 두껍고 외면의 손질이 아주

                잘 되어 있는 편이다. 그러나 상단에 부착되어 있던 완이 없는 상태로 출토되었기 때문에 기형
                이나 문양, 사용 시기는 알 수 없다. 다만 대각 지름이 아주 작고 높이가 낮아서 7세기 이후 신
                라 유적에서 다수 출토되는 대부완으로 판단되나 전단계에 존재하였던 고배류의 대각일 가능성

                도 있다.
























                                                          오산 독산성 백제·신라 유물의 고고학적 의의  35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