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1 - 오산학 연구 4집
P. 41

【그림 26】 독산성 주변 오산시 관내 신라유적 출토 유물 각종(1/3, ①내삼미동 유적 133호 수혈, 韓國文化遺産硏究院 2012,
               ②가장동 유적 7지점 2호 주거지 서경문화재연구원 2013, ③궐동 유적 1지점 삼국시대 1호 석실묘 中央文化財硏究院 2013,
               ④내삼미동 유적 삼2호 주거지 京畿文化財硏究院 2011, ⑤가수동Ⅰ-3호 수혈주거지, Ⅱ-1호 수혈주거지 畿甸文化財硏究院
               2007)





                 세교동 41-5번지 유적에서는 3기의 주거지가 확인되었는데, 그 중 1호 주거지의 잔존양상이
                좋은 편이며, 시기를 판단할 수 있는 자료로는 뚜껑, 단각고배, 부가구연대부장경호가 출토되었
                                                   21)
                                                                             23)
                                                              22)
                                      20)
                다. 이 외에도 가수동 유적 , 가장동 유적 , 궐동 유적 , 내삼미동 유적 에서 6세기 후반~7
                세기 초반으로 볼 수 있는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보았을 때 오산시에 신라 유적이 나타나는 시점은 한강유역을 차지하는
                시기인 553년부터 6세기 후반 사이로 생각된다. 따라서 위 유적들과 같이 1단 투창 단각고배,



                20)  畿甸文化財硏究院, 2007, 『烏山 佳水洞 遺蹟』.
                21) 서경문화재연구원, 2013, 『오산 가장동 유적』.
                22) 中央文化財硏究院, 2013, 『烏山 闕洞遺蹟』.
                23) 京畿文化財硏究院, 2008, 『烏山 內三美洞 遺蹟』. 韓國文化遺産硏究院, 2012, 『烏山 內三美洞 遺蹟』.


                                                          오산 독산성 백제·신라 유물의 고고학적 의의  39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