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02 - 오산학 연구 1집
P. 302
참고문헌
● 구희서, 『한국의 무용』, 한국일보사, 1985
● 김상경, 『진쇠춤』, 도사출판 금광, 1998,
● 김헌선, 「경기도 도당굿 화랭이 이용우(1899-1987)의 구비적 개인사」, 『口碑文學硏究』 1(서울: 한국구비문학
회, 1994)
● 김헌선, 『경기도 도당굿 무가의 현지연구』, 집문당, 1995
● 김헌선, 『한국 화랭이 무속의 역사와 원리』 (지식산업사, 1997)
● 김헌선, 시지은, 「경기도 남부 도당굿 화랭이·미지의 계보와 의미」, 『민속학연구』 제 21호, 2007,
● 노동은, 「한국근대음악사」, 한길사, 1995
● 목진호, 「경기 도당굿의 ‘화랭이’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목진호, 「경기 도당굿의 악무(樂舞) 고찰」, 『韓國舞踊史學』14, 서울: 한국무용
● 박미영, 「경기도당굿에 나타난 춤 형식의 현장연구」, 중앙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1999
● 변진섭, 「동막도당굿의 무용학적 고찰」, 『한국무속학』28, 한국무속학회, 2014 사학회, 2013,
● 윤미라, 『진쇠춤』, 삼신각, 1992
● 이두현, 『한국 무속과 연극』, 서울대학교출판부, 1996
● 李杜鉉ㆍ張籌根ㆍ鄭昞浩ㆍ李輔亨, 無形文化財調査報告書: 京畿道도당굿 186, 서울: 문화재관리국, 1990.
● 이보형, 「경기도당굿 명인 이용우」, 『월간국악』 통권7호 8월호(서울: 국악중심, 2001)
● 이희승, 『국어대사전』(서울: 民衆書館, 1961)
● 장주근, 「巫俗」,『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京畿道編(서울: 민속원, 1978),
● 赤松智城ㆍ秋葉隆,『朝鮮巫俗の 硏究』上·下, 京城: 朝鮮印刷株式會社, 1937.
● 정병호 외, 「水原地方의 巫儀式」, 『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 巫儀式偏 (서울: 문화재관리국, 1983)
● 정병호, 『한국의 전통춤』, 집문당, 1999
● 秋燁隆(저)·최길성(역), 『조선무속의 현지연구』,1987
● 하주성, 『경기도의 굿』, 경기문화재단, 1999,
● 황루시, 『장말도당굿』, 문음사, 1992,
● 황루시ㆍ이보형 공저, 『경기도 도당굿』. 서울: 열화당, 1983.
● 이용우(문화콘텐츠닷컴(문화원형백과한국의굿),2004,한국콘텐츠진흥원), http://www.culturecontent.
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2&cp_
code=cp0444&index_id=cp04440779&content_id=cp044407790001&print=Y,
● 이용우[李龍雨](한국민족문화대백과,한국학중앙연구원)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459363&ci
d=46661&categoryId=46661:
300 이병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