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01 - 오산학 연구 1집
P. 301

이는 현재까지 전승되면서도 그 맥을 잃지 않고 서민의 정서와 문화예술의 대변자로서 일익

                을 담당해 온 무속무용이 오늘날 그 토속적인 종교성과 예술성을 인정받고 있다는 것을 뜻한
                다.
                  따라서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무속의식 뿐만 아니라 여러 분야와의 연관성에 관해

                연구 노력이 있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경기도당굿과 재인청, 이용우의 삶과 춤  299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