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6 - 오산학 연구 1집
P. 276

2. 경기남부권 굿 유형과 경기도당굿 절차



               1) 경기남부권의 무속의식의 종류



                 경기남부권 수원지역의 무속의식은 네 가지 종류의 굿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안택굿
               이다. 안택굿은 경사굿이나 재수굿이라고도 부르며, 정초나 9월 또는 10월에 흔히 한다. 굿거

               리의 절차는 거리부정, 부정청배, 부정굿, 산바래기, 시루고사, 제석청배, 제석굿, 손굿, 군웅
               청배(조상청배), 조상굿, 안당, 서낭, 제면, 터주굿, 뒷전 등이다. 둘째는 새성주굿이다. 이굿
               은 안택굿 중 안당이나 계면까지 끝낸 후에 삽입되는 굿거리에 불과하다. 셋째는 오구새남이

               다. 이굿은 넋맞이, 새남으로 나뉘는데, 안택굿과 같은 절차에서 산바래기나 넋을 맞고, 터주
               굿 후에 새남을 하게 된다. 넷째는 도당굿이다. 도당굿은 “산치성”, “대동굿”, “마을굿”등으로
               부른다. 당주굿, 당맞이(당굿), 돌돌이, 작문잡기, 시루굿, 터벌림, 제석, 군웅, 당할머니굿, 뒷

                              16)
               전으로 구성된다.

               2) 경기도당굿의 절차



                 경기도당굿의 절차는 당시 상황과 지역여건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사

               자료를 분석한 1982년 인천동막도당굿과 같은 해 부천 장말 도당굿을 비교해도 차이가 있다.
                 1982년 인천 동막 도당굿의 절차는 당주굿-도당오르기-거리부정-안반고시레-장승고사-
               우물고사-부정청배-부정거리-신대내리기-도당모셔오기-시루돋음-산바래기-대감굿-삼

               현-무감-본향거리-터벌림 깨낌-손님노정기-손님거리-도당모셔들이기-군웅노정기-뒷전
               등이다.

                 1982년 부천 장말 도당굿의 절차는 도당오르기-부정청배-도당신내리기-도당모셔오기-시
               루돋음-돌돌이-장승고사-우물고사-장문잡기-시루청배-안반고시레-꽃반-산바래기-대감
               굿-불사굿-호구-무감-창부거리-터벌림-터벌림깨낌-손님노정기-군웅굿-군웅노정기-중

               굿-뒷전 등이다.
                 이 두 지역에서 공통된 절차는 당주굿-도당오르기-부정청배-신대내리기(신내리기)-장승
               고사-우물고사-도당모셔오기-안반고시레-시루돋음-산바래기-대감굿-무감-터벌림 깨




               16) 정병호 외, 앞의 책, 195-205쪽.



               274  이병옥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