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3 - 오산문화총서 8집
P. 93
오산시사편찬위원회, 2020, 『烏山市史』1.
이성준, 2021, 「한성기 지역묘제의 다양성과 백제의 사회통합 방식 연구 –우호적 합병의 요인과 사례를 중심으
로」, 『韓國考古學報』121輯, 韓國考古學會.
정경화, 2021a, 「원삼국~백제 한성기 중부지역 제철기지의 조성과 변화과정」, 『韓國考古學報』第119輯, 韓國考古學會.
정경화, 2021b, 「마한~백제 한성기 철기문화의 양상 –경기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최근 발굴성과로 본 경기도
의 마한과 고대국가 백제』학술대회발표문, 경기도박물관.
정경화, 2022, 「3~5세기 오산천유역 묘제양상과 분묘 축조집단의 성격」, 『한신고고학 30주년 기념 논총』, 서경문
화사.
차윤환, 2013, 「백제초기 한강 중·하류역에 위치한 정치체의 존재양상 –묘제를 중심으로-」, 『고문화』제82집, 한
국대학박물관협회.
최정범, 2019, 「烏山 紙串洞 遺物散布地3 收拾 唐式 帶裝飾具 檢討와 京畿地域에서의 意味 考察」, 『야외고고학』
36, 한국문화유산협회.
韓濬怜, 2014, 「漢城百濟期 都城 周邊 地域 文化의 一樣相 –4~5世紀 炭川流域을 中心으로」, 『문화사학』41, 한
국문화사학회.
고고유적을 통해 본 원삼국~삼국시대의 오산 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