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2 - 오산문화총서 8집
P. 92
참고문헌
-발굴조사 보고서-
겨레문화유산연구원, 2013, 『오산 청학동 유적』.
京畿文化財硏究院, 2006, 『烏山 水淸洞 遺蹟』.
京畿文化財硏究院, 2011, 『烏山 內三美洞 遺蹟』.
京畿文化財硏究院, 2012, 『烏山 水淸洞 百濟 墳墓群』.
경기문화재연구원, 2021, 『오산 내삼미동Ⅱ 유적』.
高麗文化財硏究院, 2010, 『烏山 內三美洞 遺蹟』.
畿甸文化財硏究院, 2007, 『烏山 佳水洞 遺蹟』.
기호문화재연구원, 2013, 『烏山 塔洞·斗谷洞 遺蹟』.
三江文化財硏究院, 2017, 『平澤 佳谷里 遺蹟』.
서경문화재연구원, 2020, 『오산 내삼미동 산 17번지 유적』.
中央文化財硏究院, 2013, 『烏山 闕洞 遺蹟』.
한국문화유산연구원, 2012, 『평택 마두리 유적』.
한백문화재연구원, 2011, 『오산 외삼미동 유적』.
한양문화재연구원, 2021, 『평택 마산리 유적』.
한울문화재연구원, 2017, 『평택 가곡리 유적』.
-논문 및 단행본-
김길식, 2017, 「원삼국~백제 한성기 경기남부지역 제철기지 운용과 지배세력의 변화 추이」, 『百濟文化』第56輯,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김성남, 2006, 「百濟 漢城時代 南方領域의 擴大過程과 支配形態 試論」, 『百濟硏究』44,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김수태, 2004, 「漢城 百濟의 성장과 樂浪·帶方郡」, 『百濟硏究』39,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金王國, 2016, 「百濟 漢城期 貯藏施設 擴散의 動因 –단면 플라스크형 저장수혈을 중심으로-」, 『百濟硏究』第63
輯,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노중국, 2003, 「馬韓과 樂浪·帶方郡과의 군사 충돌과 目支國의 쇠퇴-正始 연간(240~248)을 중심으로-」, 『大
丘史學』71, 대구사학회.
박순발, 1994, 「한성백제 성립기 제묘제의 편년 연구」, 『先史와 古代』6, 한국고대학회.
90 정경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