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07 - 오산문화총서 8집
P. 307

3. 출연재산의 조사와 평가 방법



                 오산지역사회의 34명(34명 이외의 출연자가 있을 가능성도 있으나 확인 안 됨)의 유지들의
                출연으로 재단법인 오산중학교가 1950년 5월 20일에 설립되었으나, 재단 설립 후 전쟁 발발 등

                으로 학교를 신축 하지 못하고 학교 설립이 지연되었다. 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부터 전쟁 직후
                인 1956년에 지역사회와 학교(성호고등공민학교)의 교사 등의 노력으로 화성군에서 화성군중등

                교육기관설치위원회를 설치하고 화성군수 김용석이 재단의 이사장에 취임하여 정부에서 청학
                리 학교부지 약 17,000평을 무상임대하고 오산지역유지와 오산지역을 중심으로 한 인근 8개 면
                으로부터의 모금과 미국의 물자지원과 교사 학생 및 학부모 등 지역민의 노동제공으로 학교가

                개교되고 성장되었다.
                 따라서, 오산중학교와 오산고등학교의 재산조성과 재산기여자는 재단법인 오산중학교 설립을
                위한 발기인총회가 있었던 1949년(현금 출연은 1949년에 성호고등공민학교 교사의 마련에 사용

                되었고, 동 교사가 1950년 재단설립 시 출연재산에 포함됨)부터 1970년(오산중·고 20주년 기
                념사업회의 모금으로 토지취득)까지 계속되었다. 이  기간 중에서도 재산조성이 많았던 시기는
                1949년부터 오산중학교 및 오산고등학교의 중요한 교사가 완공된 1956년까지라 할 수 있다.

                 이렇게 긴 기간 동안 여러 사람의 기여로 오산학원의 재산이 조성되었고, 재산형성에 기여도
                토지, 현금, 건축자재와 노동력의 기여내역은 구체적으로 전해지지 아니하여 기여재산을 기여

                자별로 지분으로 정리하는 것은 어려웠다.
                 재산조성내역을 기여자별로 구체적인 기여내역도 정리하지는 못하였다. 다만, 기여자가 확인
                되는 한도에서는 학교의 설립에 기여한 분들과 그 기여재산을 정리하였고, 확인되지 아니하는

                부분은 여러 자료와 당시 학교 운영에 참여하셨던 이병렬 교장과 이기춘 교감 등의 증언 등을
                기초로 가능한 한 사실에 가깝게 내용을 정리하였다.


                4. 조사에 활용된 자료



                 본 위원회의 조사에서 활용하거나 확인한 자료나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재단법인 오산중학교 설립 관련 서류(재단법인설립신청서 등)

                 ② 재단법인 오산중학교의 설립에 관련하여 지역주민이 제출한 서류(발기인총회 의사록 등)
                 ③ 재단의 토지 취득 및 처분 관련한 재단법인이 보유한 관련서류



                                                                                오산학원 탐구  305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