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12 - 오산문화총서 8집
P. 312
한 지금이 대부분이었으며, 지역사회의 유지들의 기여도가 많았다고 하나 그 구체적인 내
역은 전해지지 아니하여 확인할 수 없었다(전 이기춘교감, 전 이병렬교장). 또한, 건물 신
축에 학생들과 일부 지역민의 노동제공도 있었다. 동관의 경우에도 1953년 10월애 교지정
지작업이 시작되고 1954년 4월 15일에 상량식, 1954년 6월 11일에 낙성식을 한 것을 참고
하면 많은 건물 신축이 많이 진행된 후 상량식을 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서관신축이
1952년 4월 25일에 상량식이 거행되었으나, 실질적인 서관의 신축시작(교지 정지작업 등의
시작)은 1951년 하반기나 1952년초부터인 것으로 추정된다(서정관 증언).
* 1952년 7월 19일 : 성호고등공민학교 청학리로 이전-서관이 완공되기 전이지만, 동산창고
에서 교육하던 성호고등공민학교를 청학리로 이전함
* 1952년 10월 20일 : 오산중학교 학급인가-서관이 아직 완공 전에 서관으로 성호고등공민
학교 학생이 이전하고, 학교 교실이 완공되어 감에 따라 오산중학교 학급인가(학교 설립 인
가)를 받게 된다.
Ⅴ. 오산중학교 및 오산고등학교의 재산출연
1. 개요
11)
오산학원 관계자료 에 따르면 오산학원의 재산조성은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각 구
분별로 재산조성의 과정과 참여자들에 차이가 있다. 알아본다.
1) 1950년 5월 20일의 재단법인 오산중학교의 인가(재단 설립)와 관련하여 상당한 재산이 출
연되었다. 재단 설립 시 출연된 재산은 대부분 오산의 지역유지 34명(이분들 이외의 분들이 있
을 가능성이 있으나 자료로는 확인은 되지 않음)에 의해 이분들이 보유한 토지들을 각자 출연하
였다. 재단 설립 시에 출연된 재산은 오산 인근 여러 곳에 산재하는 전답과 임야로서 학교부지
로는 부적합한 토지였다. 이러한 이유로 이 토지들은 학교의 수익재산으로 사용되었다.
11)오산학연구소, 2022, 「재단법인 오산학원 오산지역의 출연내역 조사보고서」, 『오산학원 관계자료』.
310 정진흥·남경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