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1 - 오산학 연구 6집
P. 71

<표 1> 1979년 이후 보수 기록
                   연 도                               보 수 내 용                             비  고

                            남문 및 좌우측 성곽보수(각 80m), 북문 좌우측 성곽보수(각 80m),
                    1979
                            세마대 보수(단청. 지붕), D형 안내판 설치

                   1990     보적사 요사채 개축, 세마대 보수공사(지붕, 마루, 단청)
                   1998     세마대 보수(마루, 지붕기와), 화장실 건립(보적사 주차장)
                   2004     남문지 및 성곽보수(38.5m), 남문 석재 교체 세마대 보수, 주차장 약수터 설치
                   2016     세마대 보수(지붕 및 기와) 및 잡목제거



                 세마대의 과거 사진을 보면 보수기록이 남아 있지 않은 1957년부터 1979년 사이에 가장 많은
                변형이 이루어졌으며 1979년 이후로는 현재와 비슷한 모습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1957년에서
                1979년 사이의 변천을 집중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한다.

                 먼저 1957년 세마대의 모습을 보면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의 형태로 복원되었다. 처
                마에는 잡상이 있고 지붕에 세마일화가 그려져 있으며 현판은 ‘洗馬䑓’와 ‘洗馬坮’의 2개가 있다.
                이 중 ‘洗馬坮’라고 되어있는 것은 이승만 대통령의 친필 휘호이고 ‘洗馬䑓’라고 되어있는 것은

                중건위원회에서 걸은 것으로 판단된다. 특징적인 것은 ‘洗馬坮’의 경우 배경이 검은색이지만 ‘洗
                馬䑓’는 배경이 흰색으로 차이가 있다. 내부에는 세마대 중건기와 세마대 중건 경위서가 있고
                종보에는 태극기가 그려져 있다. 복원 당시의 형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세마대 건립 및 변천과정 연구  69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